
2016년부터 서울시내 유치원에 교무행정 실무사가 배치되고 학급당 정원이 축소되는 등의 변화가 시도된다.
24일 서울시교육청은 유아교육에 대한 책무성을 강화하고, 유아교육이 공교육으로서의 면모를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는 ‘유아교육발전을 위한 서울시 교육청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유아교육발전을 위한 서울시 교육청 종합계획’은 5개의 단기과제와 2개의 중기과제를 포함하고 있다.
단기과제로는 ▲교사 수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유치원 교무행정 실무사 배치 ▲1일 수업시간 5시간 기준, 3~5시간 범위 내 탄력적 허용 ▲유치원 교육 질 향상 위해 학급당 정원 축소 ▲유치원 교권 보호 위한 가칭 ‘유치원 교권상담센터’를 설치․운영 ▲사립유치원 공공성 확보를 위한 ‘공공형 운영 모델’을 제시(정책연구중)가 있다.
장기 과제는 ▲유아교육진흥원 권역별 체험활동 분원 설치를 위한 협의를 추진 ▲일제 잔재인 ‘유치원’이란 명칭을 ‘유아학교’로 개명토록 노력하는 것이다.
특히 학급당 정원과 관련해서는 현재 만5세 이상 유아의 학급당 정원은 28명으로 초등학교 학급당 평균 학생수(24.3명)보다 많다. 이에 2016학년도부터는 2명 줄어든 26명 이하로 유지되게 된다.
또 만3세는 18명 이하에서 16명 이하로, 만4세는 24명 이하에서 22명 이하로, 혼합연령은 23명 이하에서 22명 이하로 줄어든다. 대신 유치원과 지역상황에 따라 3~4명의 추가 인원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이날 발표한 종합계획에 대해 “학교 교육의 출발점이 되는 유아교육에 대한 서울교육청의 책무성을 강화하고 공공성을 확대하고자 하는 정책”이라고 설명했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