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의 비선 실세로 알려진 정윤회씨의 국정 개입 의혹을 제기하는 청와대 문건을 흘린 당사자로 지목된 박모(48)경정이 자신을 둘러싼 의혹에 대해 전면 부인했다.
1일 박 경정은 오전 7시께 출근길에서 취재진들에게 “문건을 유출한 적 없다. 수사 받겠다”고 밝혔다.
경찰과 언론보도 등에 따르면 박 경정은 청와대 파견 동안 <세계일보>가 보도한 ‘현 정부 비선실세’ 정윤회씨의 ‘국정농단’ 문건을 작성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일선 경찰서로 발령난 데 불만을 품고 문건을 유출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다.
지난해 4월까지 박 경정은 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장으로 근무하다 청와대 민정수석실 산하 공직기강비서관실 행정관으로 파견됐다. 이후 지난 3월 경찰로 원대 복귀해 현재 서울시내 일선 경찰서 정보보안과장으로 재직 중이다.
박 경정은 청와대 파견 해제 이틀 전인 지난 2월10일 서울경찰청 정보분실장 사무실로 박스 1∼2개와 목도리와 경찰복 등이 든 쇼핑백 1∼2개를 가져왔다. 이때 다른 정보분실 경찰관들이 이를 복사해 보관하거나 돌려보다가 유포됐고, 이 사실이 알려지자 문건을 파기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박 경정은 서울청 정보분실로 발령날 줄 알고 짐을 옮겨 놓은 것은 맞지만, 서울 시내 경찰서로 배치되면서 짐을 다시 가져갔다고 주장하고 있다.
경찰은 일부 직원들이 해당 문건을 복사해 유포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다.
검찰은 박 경정에 대해 출국 금지 조치했으며 나머지 사건 관련자에 대해서도 출국 금지 조치를 검토중이다.
서울중앙지검은 1일 오전 회의를 열고 정식으로 사건을 배당할 계획이며, 이번 사건은 세월호 침몰 당일 박 대통령의 행적에 대한 의혹을 보도한 가토 전 지국장 사건을 맡고 있는 형사 1부에 배당될 가능성이 크다.
앞서 지난달 28일 이재만 청와대 총무비서관 등 8명은 세계일보 보도 직후 해당 언론사 발행인과 기자 등 6명을 검찰에 고소하고, 청와대 문건이 외부로 유출된 경위에 대해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