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중국 성향의 집권 여당인 국민당이 지난달 29일 지방 선거에 참패한 데 책임을 지고 대만 내각이 1일 총사퇴했다.
친중국 성향의 국민당은 이번 선거에서 6개 직할시를 포함한 22개 선거구에서 6명의 시장을 내는 데 그쳤다. 특히 6개 직할시 선거에서는 신베이를 빼고 수도 타이베이 등 모든 선거구에서 전패했다.
제1야당인 민진당(DPP)이 전국적으로 47.5%를 득표한 반면 국민당은 40.7%에 그쳤다고 필리핀의 ‘래플러’가 보도했다.
이번 선거 결과에 대해 마 총통이 2008년 집권 이후 적극적으로 펼친 친중국 정책에 유권자들이 불안을 느꼈으며 아울러 경제성장 둔화와 쏟아져 나오는 국민당의 스캔들에 국민이 분노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마 총통 집권 이후 관계 호전으로 중국들의 대만 관광이 급성장 했고 무역 규모도 확대됐다. 그러나 중국과의 관계가 밀접해지자 한편에선 우려가 일기 시작했다. 대만 학생들은 국민당이 추진해온 중국과의 서비스무역협정 비준 움직임에 반대하며 지난 3월 국회(입법원) 점거 농성을 벌이기도 했다.
'앞으로 양안 관계 불안정'
중국 관영 매체인 글로벌타임스는 이날 사설을 통해 국민당의 참패는 “대만의 경제와 사회 운영의 무능” 탓이라고 지적했지만 이번 패배가 “대만 독립파들의 승리를 의미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대만의 학자들은 국민당의 선거 참패 이후 정국에 대해 앞으로 양안 관계 발전이 둔화되거나 불안정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문화대학교의 차오치엔민(Chao Chien-min) 교수는 중국 정부가 대만이 중국 시장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던 대만 국민들에게 관심을 썼더라면 선거 결과가 달라졌을 가능성이 있었다고 말했다고 뉴스채널 ‘포커스타이완’이 전했다.
차오 교수는 민간 싱크탱크인 ‘국책연구소’가 주최한 공개토론회에서 중국은 대만인들의 이런 우려를 무시했고 대만이 중국과 별도로 경제적 영역을 넓히는 데 아무런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