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공대위 출범 “정치권, 특정 정파 소유물 아냐”
MBC 공대위 출범 “정치권, 특정 정파 소유물 아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언론자유 제고, 불공정 편파보도 감시 활동 시작
▲ 사회 각계각층의 대표자들이 모여 MBC의 언론자유를 제고시키고 불공정 편파보도를 감시하는 공동대책위원회를 출범했다. ⓒ뉴시스

언론계와 종교·학계·문화예술·시민사회단체 등 각계각층의 대표자들은 국민의 알권리와 언론 자유를 위해 권력으로부터 MBC를 되찾아 오고자 힘을 합쳤다.

9일 MBC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는 서울 중구 세종대로 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에서 열린 ‘MBC를 국민의 품으로!’ 출범 기자회견에서 “MBC를 국민의 품으로 돌리기 위해 함께 하는 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공대위는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 민주언론시민연합, 새언론포럼, 언론개혁시민연대, 언론소비자주권국민캠페인,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국언론노동조합, 한국PD연합회, 80년해직언론인협의회가 참여했다.

공대위 상황실장을 맡은 최정기 언론노조 조직부장은 “현재 MBC는 방송문화진흥회와 사장 선임 등 박근혜 정부 하에서 MBC 문제를 당장 해결하긴 어렵다”며 “외부 시민사회의 모니터링 기능을 강화하고 문제를 공론화하는 등 중장기적으로 접근하려 한다”고 출범 이유를 설명했다.

공대위는 이날 성명에서 “국민복지 향상과 공정방송 실천을 위해 노력중”이라면서 “MBC는 국민의 방송으로 정치권이나 특정 정파의 소유물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들은 “특정 단체의 입장만을 반영한 이들의 행동에는 국민들이 동의하지 않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방송을 통한 국민 복지 향상과 공정방송 실천이라는 사명 완수를 위해 기본과 원칙을 지키겠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공대위는 앞으로 매주 1인 시위를 비롯해 언론자유 제고와 불공정 편파보도를 감시하는 보도 모니터 및 토론회 등을 개최할 예정이다.

한편 MBC는 2012년 전국언론노조 MBC본부 파업 이후 기자, PD들을 비제작부서로 발령하고 10월에는 교양제작국을 해체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