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협·종교·시민단체 “실효성 없는 5‧24 조치 해제하라”
경협·종교·시민단체 “실효성 없는 5‧24 조치 해제하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남북국회회담, 금강산 관광 재개 등 남북 교류·협력 증진 촉구
▲ 경협‧종교‧시민단체 연대는 남북의 교류와 협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5·24 조치 해제를 촉구했다. 사진 / 홍금표 기자

경협‧종교‧시민단체 연대는 정부를 향해 남북화합을 위한 5‧24 조치를 해제할 것을 촉구했다.

12일 경제협력기업, 종교, 시민단체들은 서울 광화문광장 이순신장군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남북간 교류와 협력을 증진시키려면 이를 가로막는 조치부터 우선 해제해야 한다”며 “정부는 남북 고위급 회담 재개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밝혔다.

기자회견에는 원혜영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김성곤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정숙경 남북경협기업비상대책위원회, 이종흥 금강산기업인협의회 회장, 한용문 민주노총 통일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원해영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5‧24조치는 아무런 실효성이 없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남한은 북한에 비해 파산과 손실로 극심한 피해를 받고 있다”며 “5‧24조치 해제가 없는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은 립서비스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김성곤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5‧24조치가 북한을 제대한 것이 아니라 남한의 경영인들이 고통받고 있다”며 “박근혜 대통령이 주장하는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인 통일 대박론 달성과 북한이 더 이상 중국경제에 예속되는 것을 막기 위해 5‧24조치를 해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협‧종교‧시민단체 연대는 남북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전단살포나 애기봉 등탑 점등 등 상호 갈등을 격화시킬 수 있는 적대적 행동을 자제하는 것으로부터 대화의 환경을 조성하여 하루빨리 남북 고위급 회담을 재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금강산관광 재개를 결단해 남북대화 재개의 출구를 마련해야 한다”며 “금강산에는 이산가족상봉 면회소가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이산가족 상봉을 확대, 정례화할 수 있는 좋은 계기이자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도균 씨에스글로벌 회장은 “정부가 ‘5‧24 조치의 예외’를 선언하고 포스코, 현대상선, 코레일 3개의 대기업을 참여시켰다며 특혜를 주었다”며 “형평성에 맞지 않는 중소기업의 대량학살”이라고 비판했다.

이종흥 금강산기업인협의회 회장은 “금강산 관광은 유라시아로 나아가는 길이자 박근혜정부의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에 가장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용문 민주노총 통일위원장은 “‘남북 노동자 통일 축구대회’를 통해 얼어있는 남북이 화합하는 계기를 마련해 역사적인 사건을 만들어야 한다”고 5‧24조치 해제를 촉구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