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는 4대강 유역에서 서식하는 큰빗이끼벌레가 유해성과 생태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
17일 환경부는 지난 7월부터 11월까지 국립환경과학원, 4대강물환경연구소, 학계‧민간연구소 등 각 분야별 전문기관 등이 큰빗이끼벌레가 수중생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를 수행했다.
전문기관 등은 큰빗이끼벌레가 자주 출몰한 금강 세종보 인근에 메조코즘(85×85×60㎝)를 제작·설치해 성장단계별(미성숙·성숙·사멸) 큰빗이끼벌레를 각각 넣고 6~9일 간 관찰했다.
메조코즘은 시험생물을 가둬 놓고 실험할 수 있도록 제작한 기구로써 이를 통해 인공 조건의 실내실험이 아닌 자연생태계와 유사한 조건에서 해당 실험생물이 수중 생태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 수 있다.
환경부는 실험 결과에 대해 “현장 서식종인 납자루, 밀어, 표준배양 생물종(송사리) 모두 생존에 영향이 없었으며 실험 도중에 어류가 큰빗이끼벌레를 먹는 것도 관찰되는 등 독성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또 큰빗이끼벌레가 서식하고 있는 현장 물을 채수하고 물벼룩과 송사리를 투입해 진행한 유영저해 및 치사 영향 급성 독성시험에서도 시험생물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이번 조사 결과가 지난 7~11월 동안 진행된 것이기 때문에 특정지점에서의 큰빗이끼벌레 분포 양상, 봄~여름철의 발생·성장조건 등에 대해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류덕희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연구부 부장은 “올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내년에는 큰빗이끼벌레의 발생·성장, 섭식 등과 관련된 보다 심도 있는 연구를 추진해나가는 한편, 외래 수생생물에 대한 조사도 확대하여 수생태계 보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