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가 주주 중시 정책 및 국내 경기 활성화 차원에서 올해 배당 규모를 전년 대비 30%에서 최대 50%까지 확대한다고 밝혔다.
19일 삼성전자는 “특별배당금 성격으로 전년대비 30~50%의 배당 증대를 적극 검토 중”이라고 공시했다.
삼성전자는 내년 1월 말 예정된 이사회에서 올해 결산 배당금을 결정하고, 3월 중 열리는 정기 주주총회를 통해 이를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총 2조1570억을 배당했으며, 30~50%가 확대되면 올해 삼성전자의 배당 규모는 2조8040억~3조2355억원 수준이 될 전망이다. 삼성전자의 배당규모는 2012년 1조2100억원에서 2013년 2조1600억원으로 늘면서 시가배당률은 0.5%에서 1%로 상승했다. 이날 밝힌 계획대로 배당이 이뤄지면 시가배당률은 1.7%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당으로 환산하면 보통주의 경우 1만8590원~2만1450원 수준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주당 1만4300원을 배당했다.
그러나 아직 삼성의 배당 규모는 글로벌 기업인 애플이나 마이크로소프트에 비해서는 부족한 수준이다. 애플의 올해 배당규모는 약 12조원으로 2%의 시가배당률을 기록했고 마이크로소프트는 9조 8천억원으로 3%를 기록했다.
한편 지난 8월 중간배당으로 754억원 규모를 집행한 삼성전자는 지난달 말 2조원대의 자사주 매입과 올해 결산 배당 등을 통해 한 해에만 주주 달래기에 5조원 이상을 사용하게 된다.
삼성전자가 이처럼 배당 규모 확대를 결정한 것은 실적 악화 등의 우려로 주가가 급락하자 외국인 투자자들을 중심으로 수익률을 보장하기 위해 배당금을 늘려달라는 요구가 거세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 정부도 과도한 사내유보금에 대해 세금을 물리는 ‘기업소득환류세제’를 내년부터 시행하며 배당 확대를 적극 유도하고 있다는 점도 적극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주주 친화정책 강화로 주가 방어 및 주주 달래기에 본격적으로 나선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그동안 배당 확대나 자사주 매입 카드를 꺼내들기 보다는 투자 확대를 통해 본원적인 경쟁력을 높이는데 집중해 왔다.
하지만 주가가 지난 6월3일 연중 최고점인 147만원에서 최근 120만원대 밑으로 떨어지는 등 20% 가까이 급락하자, 가중되는 투자자들의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특단의 조치가 불가피해진 상황이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는 “이번 배당 확대 결정은 주주 중시 정책 및 국내 경기 활성화를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