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교육청이 내년부터 학교성과급과 교육지원청 평가에 혁신공감학교(이하 공감학교) 관련 지표를 반영하기로 결정해 교원단체들이 반발했다.
도교육청은 내년 3월부터 공감학교를 운영, 그 결과를 매년 시행하는 학교성과급·교육지원청 평가지표에 반영키로 결정했다고 21일 발표했다.
공감학교는 ‘창의적 교육과정 운영’ 등 4개의 공통과제와 1개의 선택과제를 이행해 협력적 학교문화를 만드는 모델이다. 우수한 공감학교는 혁신학교로 지정될 수 있다.
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2일 마감된 공감학교 신청 결과 도내 전체 2225개 초·중·고등학교 가운데 80%가량이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교원 동의율이 70% 이상 있어야 공감학교로 선정될 수 있다. 1년 단위로 운영되는 공감학교에는 1곳당 800만~2000만원이 차등 지원된다.
한편, 교원단체들은 평가 지표 반영이 “학교교육의 자발성을 해치는 것”이라며 교육청의 결정에 반대하고 나섰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경기지부는 지난 9일부터 도교육청 앞에서 천막농성을 벌이며 평가 지표 반영 등을 반대했다.
경기교원단체총연합회는 “교사의 자발성을 토대로 학교를 혁신하겠다는 도교육청이 평가를 미끼로 공감학교 참여를 유도한 것으로 보인다. 공감학교에 인센티브(점수)를 주면 일반학교에 대한 차별이 커진다. 평가 반영을 반대한다”고 성명했다.
전교조 경기지부도 “학교성과급 평가 등에 공감학교를 반영하면 학교혁신이 아닌 평가를 위한 참여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도교육청 학교혁신과 관계자는 “애초 공감학교 운영 여부가 아닌 (공감학교 핵심 사항인) 학교의 민주성, 교사의 친절도, 교사협력문화를 평가 지표로 반영할 계획이었다”고 해명했다.[시사포커스 / 김일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