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탄소은행제’ 각종 상 휩쓸어
광주광역시 ‘탄소은행제’ 각종 상 휩쓸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센티브제로 전기·도시가스·상수도 절감효과 극대화 적중
▲ 윤장현 광주시장. 출처=광주광역시청 누리집

광주광역시 탄소은행제가 올해 각종 상을 휩쓸면서 시의 저탄소 정책 부문에서 상당한 성과를 입증했다.

올해 광주시는 지난 10월 20일 광역자치단체로는 최초로 기후변화센터(CCC)로부터 ‘제4회 기후변화 그랜드 리더스 어워드’를 수상한 데 이어 11월 4일 한국생산성본부(KPC)로부터는 ‘기후변화대응 선도 지자체 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

12월5일 인천에서 열린 ‘2014 저탄소생활실천경연대회’에서는 녹색생활실천 네트워크 지자체부문 장려상, 그린리더 초급·고급부문 각각 장려상, 최우수상을 휩쓸었다.

시는 지난 2008년부터 가정부문 탄소은행제를 도입해 전기, 도시가스, 상수도 3개 부문 사용량을 대상으로 전년 대비 5% 이상 절감한 경우 절감량을 포인트로 환산해 인센티브를 지급, 현재까지 12만 4,000여 가구에 12억 5,000여만원을 지급했다.

57만 3,000여 가구 중 올해 상반기에 33만 3,000여 가구가 탄소은행제에 가입했으며, 가입 가구 중 절반에 가까운 16만 2,000여 가구가 5% 이상을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입 가구가 전체 가구의 50% 이상을 초과한 자치단체는 광주시가 유일하다. 가입률은 다른 광역자치단체에 비해 10%포인트 이상 차이가 난다.

시는 학교, 상업시설, 산업시설 등 485곳의 다량배출시설을 대상으로 탄소은행제 시설 부문 평가를 실시해 올해 에너지 및 온실가스 감축에 솔선한 27개 우수시설에 대해 시상금 5,400만원과 유공자 표창, 우수시설 현판 설치 등을 통해 동기를 부여하고 자긍심을 심어줄 계획이다.

이와 함께, 해마다 탄소은행제 우수 자치구를 평가해 1억원 규모의 사업비를 교부하고 있다. 지원 사업비는 공동주택 고효율 조명기기 교체사업 등 저탄소 녹색사업에 직접 투자하도록 지원하고 유공시민 표창을 지속 실시하고 있다.

또한 공동주택이 많은 점에 착안해 시행하고 있는 ‘저탄소 녹색아파트 조성사업’은 ‘2014 저탄소생활실천경연대회’ 3개 부문 수상분야로 시민들이 직접 공동체를 만들어 공모에 참여하여 저탄소 녹색생활을 몸소 실천하고 그 결과를 평가받는다. 올해는 등급별 20개 아파트가 우수아파트로 선정된다.

이 같은 성과는 경쟁시스템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과 표창 등 자긍심 고취를 통한 시민들의 자발적인 동참을 적극 유도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런 노력에 힘입어 올해 상반기 부문별 감축량은 전기 1억 600만Kwh, 도시가스 2,100만㎥, 상수도 260만㎥를 각각 절감해 전체 온실가스 절감액은 9만 2,000여 톤으로 집계됐다. 이는 나무 3,300만 그루를 심은 것과 같은 효과이며, 환산액은 282억여 원에 이른다.

박기완 시 기후변화대응과장은 “올해 성과는 시민 모두가 저탄소 녹색생활 실천에 솔선수범한 결과”라며 “탄소은행제는 절감에 따라 포인트를 지급 받고, 공공요금도 절감하며, 지구까지 살리는 일석삼조 효과가 있으므로 앞으로도 시민들이 저탄소 녹색생활 실천에 앞장서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