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커머스 시장 경쟁 치열해진다
e-커머스 시장 경쟁 치열해진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외 인터넷 기업 쇼핑 분야 강화 모색
▲ 국내 인터넷 시장에서 글로벌 기업들이 사업다각화를 모색하며 도전장을 내밀 기세를 보이고 있어 새해 전자상거래(e-commerce) 영역에서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뉴시스

국내 인터넷 시장에서 글로벌 인터넷 기업들이 사업다각화를 모색하며 도전장을 내밀 기세를 보이고 있어 새해 전자상거래(e-commerce) 영역에서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국내 오픈마켓 시장의 절대 강자 이베이, 그리고 최근엔 중국업체들까지 도전이 거세지고 있는 상황이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기업은 물론 아마존·알리바바 등의 미국, 중국 기업들은 정체되는 광고 수익 외에 새로운 수익을 창출하고자 쇼핑 분야를 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통계청이 분기마다 발표하는 ‘온라인쇼핑동향’에 따르면, 3/4분기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11조3천790억원에 이르렀고, 이같은 추세는 앞으로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네이버 검색어의 약 40%가 커머스 관련 키워드일 만큼 국내 시장에서 온라인쇼핑의 발전 가능성은 크다.


이에 따라 네이버는 지난달 20일 광고주를 대상으로 한 콘퍼런스에서 모바일을 중심으로 ‘e커머스’를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또 온오프라인 통합 쇼핑 서비스 ‘샵윈도’를 제공하고 TV채널에서 나오는 제품을 바로 검색해 구매 가능한 서비스도 준비 중이다.


상품 검색부터 결제에 이르는 과정을 원스톱으로 제공하기 위해 이르면 1분기 내에 자체 결제 시스템도 선보일 예정이다.


다음카카오 역시 ‘카카오톡’이라는 국민 플랫폼을 앞세워 상품을 추천해주는 카카오픽 서비스와 카카오 선물하기를 제공하고, 자체 결제 서비스도 마련했다.


SK플래닛은 올해 온·오프라인 경계가 허물어지는 ‘넥스트 커머스’ 전략을 공개하고 통합 커머스 브랜드 ‘시럽’을 출시하는 등 국내 기업들은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 머리를 싸매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국내 오픈마켓 시장의 60% 이상은 이미 지마켓, 옥션 등을 운영하는 외국 기업 이베이가 차지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대표적인 중국 대기업인 알리바바, SNS 기반 기업 텐센트 등이 자국을 넘어 한국 시장까지 눈독을 들이고 있는 실정이다.


알리바바는 한국 내 롯데면세점 쇼핑몰과 제휴해 결제 서비스 ‘알리페이’ 등을 운영하고 있고, 텐센트는 인터파크와 손잡고 자사 결제 서비스인 ‘텐페이’를 한국 내 중국어 전용 사이트의 결제 모듈로 제공하기 시작했다.


또 글로벌 기업인 아마존, 페이스북, 구글 등도 탄탄한 플랫폼을 바탕으로 쇼핑 부문 강화에 나섰다.


아마존은 구글코리아 전 대표인 염동훈씨를, 알리바바는 텐센트 출신의 황매영씨를 각각 한국 지사장으로 영입하는 등 이미 한국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준비에 들어갔다. 올해 들어 영업 등 오픈마켓 전문가와 전자상거래 부문 지사장 채용에도 나섰고 이미 강남에 대규모 사무실 자리도 마련했다. 페이스북도 국내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이분야 진출을 예고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