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정치민주연합 박지원 의원이 28일, 내년 2.8전당대회 당대표 경선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박지원 의원은 이날 국회 기자회견을 갖고 “국민이 원하는 강한 야당, 당원이 원하는 통합대표로 2016년 총선과 2017년 대선에서 반드시 승리하기 위해 당대표에 나서고자 한다”며 출마를 선언했다.
박 의원이 이날 당대표 경선 출마를 선언함에 따라, 차기 당대표 경선은 친노 좌장 문재인 의원과 양강구도에서 치러지게 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앞서, 정세균 의원이 불출마를 선언했고, 다크호스로 평가돼 오던 김부겸 전 의원 역시 이날 불출마 입장을 최종 밝혔기 때문이다.
박지원 의원은 출마 선언을 통해 “박근혜 정부는 세월호 참사와 측근의 국정농단으로 집권 2년차에 벌써 ‘레임덕’에 빠졌다”며 “더 이상 이런 무능한 정부, 무책임한 대통령에게 나라의 미래와 국민의 안위를 맡길 수 없다”고 강한 야당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강한 야당’에 대해 “싸움도 잘하고 타협도 잘하는 유능한 야당”이라며 “정부여당에 맞서 싸울 때는 치열하게 싸우고, 타협할 때는 감동적인 양보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박 의원은 또 “강한 야당은 비판과 견제는 물론 정부여당을 견인할 능력을 가진 야당”이라며 “경제위기 속에서 서민을 보호하고, 안보위기 속에서 한반도평화를 지키려면 확고한 비전과 정책으로 정부여당을 견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당내 문제에 대해서는 “강력한 리더십으로 당을 하나로 만들 ‘통합대표’가 되겠다”고 약속했다. 문 의원은 “당은 지금 특정계파의 당으로 전락하느냐, 우리 모두가 주인인 당으로 가느냐 하는 갈림길에 서 있다”며 “독점과 분열로 패배할 것인가, 통합과 단결로 승리할 것인가가 우리의 선택에 달려있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분열과 침체의 늪에 빠진 당을 살리는 ‘통합대표’가 되겠다”며 “강력한 리더십으로 계파독점을 깨고, 탕평인사로 공정하게 당을 운영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저는 어떤 계파로부터도 자유롭다”며 “오직 2016년 총선승리와 2017년 대선승리만 생각한다. 저야말로 탕평인사와 공정한 당 운영을 행동으로 실천할, 유일한 후보라고 확신한다”고 지지를 호소했다.
당 혁신 문제에 대해서도 “공천혁명으로 국민의 전폭적인 지지를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박 의원은 ▲부산ㆍ대구ㆍ울산ㆍ경남ㆍ경북ㆍ강원 등 6개 시ㆍ도에 비례대표 두 명씩을 우선 배정 ▲전국 광역의원과 기초의원 각 한 명씩을 국회의원 비례대표로 발탁 ▲지방의회선거에서 한 명 이상의 청년을 공천 ▲계파갈등의 근원인 공천심사위원회를 폐지 ▲‘비례대표 예비후보등록제’ 도입 등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박 의원은 아울러, “민주적 당 운영과 지역기반 강화를 위해 시도당 지원을 과감하게 확대하겠다”며 “민생정치ㆍ생활정치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민주정책연구원의 시ㆍ도지부를 설치해서 현실적인 지역정책과 공약을 개발하겠다”며 “민생현장을 담당하는 지방의원이 참여하는 생활정치위원회를 대표 직속으로 설치하겠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노동ㆍ여성ㆍ청년ㆍ노인ㆍ장애인 등 부문별 조직 활성화”, “‘전당원투표제’ 확대로 당의 주요정책과 진로를 대의원과 당원이 직접 결정토록 하겠다” 등의 계획을 제시했다.
박 의원은 이러한 공약들을 바탕으로 “2017년 정권교체의 밑거름이 되겠다. 대선주자들이 화려한 꽃을 피울 수 있도록 기꺼이 희생하는 당대표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1997년 정권교체와 2002년 정권재창출에 성공한 ‘승리의 DNA’를 가지고 있다. 원내대표로서 강력한 대여투쟁과 정치력으로 정부여당을 압도한 경험도 가지고 있다”며 “저는 정권을 다시 찾는 일 외에는 어떠한 사심도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아울러, 박 의원은 “일부 강경진보세력과 분명하게 선을 긋는 결단도 마다하지 않았다”며 “앞으로도 당과 대선주자들을 위해서라면 어떠한 어려운 결정도 피하지 않겠다. 정권교체의 그 날까지 오직 당과 국민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