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해양경비안전서가 ‘501 오룡호’ 생존 선원 조사 결과를 발표하는 자리에서 “여러가지 기본적인 사항만 지켰어도 오룡호가 침몰하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30일 부산해양서는 악천후 속에서 무리하게 조업하다가 많은 양의 바닷물이 갑자기 유입됐으나 배수가 제대로 되지 않은 점을 오룡호 침몰 원인으로 꼽았다.
부산해양서 이현철 오룡호 수사전담반 팀장은 “러시아 서베링해에서는 파도가 4m 이상이면 보통 조업을 하지않는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사고 당시 높은 파도에도 불구하고 오룡호는 무리하게 조업을 진행하면서, 피시폰드 해치를 열어뒀던 것으로 밝혀졌다.
해치를 열어둔 탓에 10여 차례에 걸쳐 많은 양의 바닷물이 피시폰드로 들어왔다.
설상가상으로 피시폰드와 해치 사이에 그물이 끼면서 틈이 생겼고, 이로인해 처리실과 타기실에 계속해서 바닷물이 들어와 선체 침수상황은 더 악화됐다.
이후 타기실 침수로 조타기가 고장나자 한 간부 선원이 엔진을 끄면서 오룡호는 완전히 자력 항해 능력을 상실한채 높은 파도에 심하게 기울었다.
오룡호 선박 왼편에 있는 오물배출구 덮개가 파손된 점도 선박 침몰 원인의 하나로 설명됐다.
오물배출구 덮개는 바닷물이 선체롤 들어오는 것은 막고 선박에서 발생한 오물만 바다로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오룡호의 경우 지난 9월 조업 때 오물배출구덮개가 파손됐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수리하지 않아 사고 당시 오물배출구로 많은 바닷물이 유입돼 배가 왼쪽으로 기우는 결정적인 원인이 됐다.
제대로 된 자격을 갖춘 해기사들이 오룡호에 타지 않은 점도 사고 원인의 하나로 지목됐다.
선원 구조의 골든타임을 확보하지 못해 많은 선원들이 사고를 당한 것에 대해 이 팀장은 “선장이 끝까지 퇴선명령을 하지 않았다고 생존 선원들이 진술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오룡호)침몰 직전 러시아 감독관과 갑판장이 유도해 선원들이 구명동의를 입고 조타실에 모였다”면서도 “많은 선원을 살릴 수 있는 골든타임이 이미 지난 후였다”라고 덧붙였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