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3%로 집계돼 통계 작성 이후 최초로 2년 연속 1%대에 그쳤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4년 연간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올해 소비자물가는 작년보다 1.3%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1년 4.0%이던 물가상승률은 2012년 2.2%, 2013년 1.3%로 둔화했으며 올해는 지난해와 같은 수준의 상승률을 보였다.
특히 연간 물가 상승률 1.3%는 1999년(0.8%) 이후 최저치로, 한국은행의 중기 물가안정목표(2.5∼3.5%) 하단을 한참 밑돌고 있다. 농축수산물 가격은 작년보다 2.7% 떨어졌고 석유류 제품 가격도 4.3% 하락해 이들 품목이 낮은 물가 상승률의 주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공급 측면 요인이외에 경기 부진에 따른 수요 저하 영향도 있어 디플레이션 진입 우려가 현실화되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올해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1년 전보다 2.0% 상승했고,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1.7%, 생활물가지수는 0.8% 각각 올랐다. 이들 상승 폭은 작년보다는 소폭 확대됐다. 그러나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9.3% 하락했다. 이는 1990년 통계 작성 시작 이래 가장 큰 폭의 하락세다.
한편, 12월 소비자물가는 작년 같은 달보다 0.8% 오르는 데 그쳐 14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을 보이는 등 0%대를 기록했다. 상승률이 0%대까지 다시 떨어진 데에는 유가 하락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전월에 비해서는 변동이 없었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12월 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1.6% 올랐다. 지난해 8월(1.5%) 이후 1년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을 보인 지난달과 같은 수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에너지제외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1.4% 상승했다.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0.3% 올라 지난해 10월(0.0%)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신선식품지수는 2.8% 하락했다. 감소 폭은 축소됐지만 16개월 연속 마이너스 기록이다. 특히 신선과실(-11.1%)의 하락 폭이 가장 컸다. 신선채소도 0.1% 떨어졌다. 신선어개(5.4%)와 기타신선식품(4.8%)은 올랐다.
집세는 작년 동월보다 2.2% 올랐다. 전세(3.1%)와 월세(0.5%)가 모두 상승했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