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롯데월드에서 크고 작은 안전사고가 잇따르자 서울시가 ‘사용중지 명령’을 내릴 수도 있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5일 서울시는 브리핑을 갖고 “제2롯데월드의 초고층 타워동 공사가 준공될때까지 강력한 안전관리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라”고 주문했다.
이어 “롯데가 안전관리 대응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지 않은 상태에서 안전사고가 재발하면 전체 건물에 대한 사용제한과 금지, 임시사용 승인 취소 등 종전보다 더욱 강력한 제재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현재 롯데 측이 강화해야 할 안전관리·대응 시스템의 핵심을 전문성 확보, 신속성성, 투명성 등 3가지로 요약했다.
특히 외부로부터 구조·안전 인력 및 장비를 확충하거나 외부 기관과 협업한 안전관리 모니터링을 실시하도록 요구 하기도 했다. 이것은 서울시가 현재 롯데 측이 벌이고 있는 자체 인력 중심의 안전관리를 더 이상 믿지 못한다는 뜻으로도 해석된다.
또 서울시는 지난해 12월 31일 발생한 제2롯데월드 지하주차장 균열에 대해 시가 긴급점검을 실시하고 그 결과 구조 안전에는 문제가 없다고 밝혔음에도, 롯데 측의 즉각적인 전문가 점검과 투명한 공개가 이뤄지지 않아 시민불신이 커졌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에 롯데는 시민 우려를 해결하기 위해 매달 설명회를 열어 전문가들이 참여한 안전 점검 결과와 초고층 건축 기술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제2롯데월드에서는 조기개장 이후 수족관 누수, 영화관 진동, 공연장 공사인부 추락사, 캐주얼동 출입문 탈락사고, 지하주차장 바닥균열 등 다양한 안전사고와 사건들이 연이어 발생했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