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공무원연금특위 개혁논의 시작부터 ‘삐걱’
여야 공무원연금특위 개혁논의 시작부터 ‘삐걱’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野 일부 위원 명단 놓고 최종 조율, 與 “늑장 구성” 지적
▲ 여야 공무원연금개혁 특별위원회의 구성에서 명단 확정조차 확정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운영방식에서도 입장차를 보이고 있어 난항이 예고된다. 사진 / 홍금표 기자

여야 공무원연금개혁 특별위원회의 구성을 놓고 명단조차 확정되지 않고 있어 특위 활동 전부터 난항을 겪고 있다.

6일 김재원 원내수석부대표는 원내대책회의에서 “현재 공무원연금개혁 특위와 자원개발 국조특위가 이번주부터 본격 가동될 예정”이라며 “공무원연금 특위는 새누리당은 지난해 12월30일에 위원을 선정하고 통보했는데 새정치민주연합은 아직까지 특위 위원을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수석은 또 “여야가 기구 특위 활동 시한을 정한 것이 빠른 시일 내에 공무원연금 개혁을 처리하자는 근본 취지”라며 “언제까지 구성 미룰 것인가. 특위 구성을 미뤄서 얻을 수 있는게 뭔지 의아할 따름”이라고 비판했다.

새누리당은 주호영 위원장과 조원진 간사를 비롯한 전체 위원 명단을 확정한 반면, 새정치연합은 일부 위원 명단을 놓고 최종 조율이 남은 상태로 알려졌다.

공무원연금 개혁 특위 여당 간사로 내정된 조원진 새누리당 의원은 “(공무원연금 개혁 특위를) 개문발차 해야 한다”며 “야당에서 오늘 중 (공무원연금개혁특위 위원) 명단이 나오는 대로 주호영 특위 위원장과 의논해 위원장과 간사를 추인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조 의원은 “공무원연금 개혁 특위와 국민대타협기구는 구분할 필요가 있다”며 “국민대타협기구는 그야말로 사회적인 대타협을 만들어보자는 것이고, 공무원연금 특위와는 다루는 내용이 다르다”고 강조했다.

반면 새정치연합 강기정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투트랙이냐, 아니냐’는 의미 없는 이야기이고 무엇보다 대타협기구를 순항시키는 게 가장 중요하다”며 “공무원단체의 신뢰를 얻는 일부터 해야 하므로 특위보다는 대타협기구를 먼저 가동해 첫 단추를 꿰어야 한다”고 밝혔다.

여야 간사인 새누리당 조원진 의원과 새정치민주연합 강기정 의원은 이날 만나기로 협의하면서 구체적 논의가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같은 날 대타협기구에서 활동할 공무원단체 대표 4명도 결정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여야는 대표자 회의를 통해 대타협기구 명단을 최종 확정하기로 했다.

명단 구성 뿐 아니라 국회 특위 및 대타협기구의 운영 방식 등 논의 과정에서 여야 간의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아 진통이 예고되고 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