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정치민주연합 당권주자 빅2인 문재인 후보와 박지원 후보가 서로 발톱을 드러내며 치열한 신경전을 펼쳤다.
7일 오후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당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을 위한 예비경선에서 박지원 후보는 시작부터 “계파독점과 분열로 패배의 길로 갈 것인가, 통합과 단결로 승리의 길로 갈 것인가 우리는 지금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고 문재인 후보를 정면 겨냥했다.
박 후보는 그러면서 “친노냐 비노냐를 떠나서 오직 당이 잘 되는 길이 무엇인지, 마음을 열고 상생의 길을 찾아야 한다”며 “이번 전당대회는 당 대표를 뽑는 전대이지, 대통령후보를 뽑는 전대가 아니다”고 거듭 강조했다.
박 후보는 이어, “누가 진정으로 당의 분열을 막을 수 있는 통합대표인지 여러분이 잘 아실 것”이라며 “저 박지원이 대표가 되면 당을 떠나겠다는 분이 한 분이라도 계신가? 저 박지원이 대표가 되면 이 당에서는 대선출마 못하겠다는 분이 한 분이라도 계신가?”라고 문재인 후보에 덧씌워진 분열의 이미지와 분명히 다르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박 후보는 “당이 필요로 할 때 박지원은 늘 앞장섰다. 저는 분열을 막을 대표, 투쟁도 협상도 잘 하는 대표가 되겠다”며 “우리의 목표인 총선승리와 정권교체를 위해, 제가 당대표가 되어 당의 침체와 무기력을 벗어던질 혁명적인 변화를 이뤄내겠다”고 말했다.
박 후보는 또, 공직선거법 개정을 통한 석패율제 도입 및 6개 전략지역에 대한 비례대표 2명씩 배정 등 당대표 공약들을 제시하며 “저 박지원은 사심 없이 오직 총선-대선 승리만을 위해 뛰겠다. 대선후보들을 위해 기꺼이 희생할 수 있는 당대표가 되겠다. 총선후보를 위해 모든 것을 지원할 수 있는 당대표가 되겠다”고 거듭 강조하며 지지를 호소했다.
이에 맞서 문재인 후보는 연설을 통해 “누구나 당이 백척간두에 서 있다고 위기를 말한다”며 “그런데 지금 우리에게 과연 당을 살리려는 절치부심이 있는 것인가? 이번 전당대회부터 달라지겠다는 의지가 우리에게 있는 것이냐”고 따끔한 일침을 가했다.
문재인 후보는 그러면서 “이번 전당대회에서 다시 일어서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런데도 끊임없이 계파 따지고, 지역을 나누고, 과거 상처를 헤집고, 누구는 되니 안 되니 한다”며 “정책과 비전은 간 데 없고 네거티브만 자욱하다. 전당대회가 국민들께 희망을 주기는커녕 절망을 더 키우고 있는데, 이래서는 안 된다”고 강하게 성토했다. 친노 수장인 문재인 후보의 사퇴를 거듭 촉구하며 대선패배 책임론까지 제기하고 있는 反문재인 후보들에 대해 강한 불만을 토로한 것이다.
문 후보는 이어, “이번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를 선출하는 기준은 딱 하나”라면서 “누가 대표가 되면 총선을 승리로 이끌 수 있고, 누가 대표가 되면 정권교체의 희망을 줄 수 있겠나, 국민들이 누구를 우리당의 얼굴로 원하고 있나”라고 적극적인 호응을 유도했다.
문 후보는 특히, 당 안팎의 대선패배 책임론에 반박하듯 “대선후보를 한 제가 무슨 당 대표에 연연하겠나”라며 “이대로 가면 안 된다는 걸 뻔히 알면서 상처받지 않으려고 회피한다면, 역사 앞에 그리고 우리당에 죄를 짓는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출마를 강행한 배경을 설명했다.
문 후보는 “사즉생의 각오로 나섰다. 저의 정치 생명을 걸었다”며 “기필코 정권교체를 이루겠다. 김대중, 노무현 정부에 이어 경제와 민주주의가 함께 성장하는 지방분권공화국과 통일 시대를 열겠다”고 강력히 지지를 호소했다.
한편, 기호 1번인 박주선 후보는 “우리가 선거에서 계속 연패한 이유는 패배에서 교훈을 얻지 못하고, 냉정한 평가와 엄정한 책임이 따르지 않기 때문”이라며 문재인 후보를 겨냥했다. 박주선 후보는 “‘땅콩회항 사건’에서도 볼 수 있듯이 국민이 지도층에 바라는 것은 자신의 잘못에 대한 반성과 사과, 결과에 책임지는 지극히 상식적인 자세”라며 “우리는 이러한 상식에도 미치지 못한다면 누가 우리를 지지하겠냐”고 꼬집었다.
박주선 후보는 거듭 “반성과 책임지는 풍토조성이 먼저다. 변화와 혁신의 대상이 그 주체가 될 수는 없다”며 “총선, 대선 패배의 책임 있는 분들에게는 결코 국민이 동의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486 대표주자로 출마한 이인영 후보는 박지원 후보와 문재인 후보 빅2 모두에 대해 양비론을 펼쳤다. 박지원 후보에 대해서는 “저라면 집권전략과 경험을 바탕으로 ‘사심 없는 통일전략’을 제시하겠다. 기에 평화와 추가성장의 길이 있다”며 지역을 당대표 당선의 발판으로 삼을 일이 아니라 전국정당-대중정당의 깃발을 마땅히 들어주셔야 한다. 우리 모두는 그렇게 김대중 대통령의 시대를 이어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또, 문재인 후보에 대해서는 “저라면 ‘사심 없는 집권전략’부터 제시하겠다. 부산 불출마선언도, 노 네거티브도 지금은 정답이 아니다”며 “오직 패권포기와 계파해체 선언을 우리 모두는 더 듣고 싶어 했다. 새로운 창업의 길이다. 마땅히 그렇게 우리 모두는 노무현 대통령의 시대를 함께 이어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