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2014년 임단협 합의안 ‘부결’
현대중공업, 2014년 임단협 합의안 ‘부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조 찬반 투표서 반대 66.47%·찬성 33.16%
▲ 현대중공업 노조가 2014년 임금과 단체협약(임단협) 잠정합의안을 부결시켰다.ⓒ뉴시스

현대중공업 노조가 7개월 동안의 대장정 끝에 2014년 임금과 단체협약(임단협) 잠정합의안을 부결시켰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7일 울산 본사 사내 체육관 등 전국 19개 투표소를 마련해 전체 조합원 1만6762명을 대상으로 잠정합의안 수용 여부를 묻는 조합원 찬반투표를 실시했다. 그 결과, 과반수 이상(66.47%)의 반대로 임단협 합의안이 부결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날 투표에는 조합원 1만5632명(93.26%)이 참여했다. 이 가운데 찬성 5183표(33.16%), 반대 1만390표(66.47%), 무효(0.37%), 기권 1표(0.01%)로 집계됐다.

조합원 찬반투표가 부결 처리됐기 때문에, 노사는 2014년 임단협과 관련해 재교섭을 진행해야 한다.

이와 관련해 사측의 관계자는 “회사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최선을 다했다”면서 “조합원들이 회사의 어려운 상황을 이해해주지 않은 것에 대해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노조의 관계자는 “확대간부회의를 열고 교섭위원을 재선출하는 등 향후 일정을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조에 따르면 합의안이 부결에 이르도록 한 것은 30~40대의 젊은 노조원뿐만 아니라 회사 관리자를 제외한 대부분 직원들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중공업 노동조합 박경수 정책기획실 부장은 “찬성표를 던진 사람은 5000명이고, 반대표를 던진 사람은 1만명 가량이다. 찬성표를 던진 5000명 중 3000명은 회사 관리자로 추정된다”면서 “관리자 표를 제외하면 직원 대부분이 반대표를 던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박 부장은 “회사는 흑자를 낼 때도 임금을 제대로 올려주지 않아 직원들이 사측에 대한 불신이 많이 쌓인 상황”이라면서도 “사측과 교섭을 다시 해야하는 상황이다. 이미 노조가 잠정 합의안을 받아들여 다시 파업을 하긴 어렵다”고 덧붙였다.

노사는 지난해 12월 31일 71차 교섭에서 잠정합의안을 마련했다. 잠정합의안 내용은 ▲기본급 대비 2%인 3만7천원(호봉승급분 2만3천원 포함) 인상 ▲격려금 150%(주식 지급) + 200만원 지급 ▲직무환경수당 1만원 인상 ▲상품권(20만원) 지급 ▲상여금 700%를 통상임금에 포함 ▲특별휴무 실시(내년 2월 23일)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하지만, 잠정 합의안의 세부 내용이 알려지면서 기존 노조 요구안의 절반도 안되는 기본급 인상안과 사측의 연봉제 도입 방침 등을 들어 조합원들 사이에서 부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앞서 작년 임단협에서 노조는 통상임금 확대 요구안을 비롯해 ▲임금 13만2013원(기본급 대비 6.51%) 인상 ▲성과급 250%+@ ▲호봉승급분 2만3000원을 5만원으로 인상 ▲노조 전임자 임금지급 등을 요구한 바 있다.

올해 제조업 노사관계를 가늠할 첫 분수령으로 주목됐던, 현대중공업 임단협이 끝내 좌절돼 이 같은 분위기가 제조업 전반으로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기계산업이 모여 있는 창원시에 소재한 기업들도 회망퇴직 및 임단협 문제로 노사간 갈등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