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4대강 중 누수가 발생한 6개의 보(구미·달성·합천창녕·창녕함안·공주·백제)등 대해 상세조사를 실시한다.
8일 정부는 정부세종청사에서 추경호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관계부처 차관회의를 열고 이달부터 4대강사업 조사평가위원회의 결과를 통해 드러난 개선과제를 추진해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는 2월부터 누수가 발생한 6개 보에 대한 전문기관의 상세 조사를 시작으로 보강 대책을 마련한다. 또 긴급 보수‧보강이 필요한 경우에는 6월까지 조치를 하기로 했다.
준설토 재퇴적, 바닥보호공 세굴 발생 여부에 대해서는 정밀 하천측량 등을 통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문제점이 발견될 경우 보강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둑 높임 농업용 저수지 110곳에 대해서는 오는 9일까지 점검을 마친 뒤 결과를 바탕으로 제방 경사면 침식 등에 대한 보수·보강을 진행한다. 단기간 내 용수공급이 필요한 보 인근지역은 올해 상반기 중 농촌용수 등을 공급될 예정이다.
더불어 정부는 수질과 녹조 개선을 위해 댐-보-저수지 연계 운영 실태를 상반기 중 평가·개선한 후 녹조 발생 시 방류 등 필요한 조치가 신속히 이행할 계획이다.
보 구간 적정 유속 확보 방안 마련을 위해서는 국토교통부, 환경부, 농림축산식품부가 2월부터 공동 연구에 착수하고 장기적인 수질 변화 추이도 분석한다.
4대강 생태변화는 금년부터 ‘중장기 수생태·육상 생태계 통합모니터링 운영계획’을 수립해 관찰키로 했다. 4대강 생태공원‧하천의 생태성 평가를 위해 ‘생태기술지원센터’는 국립생태원 내에 설치해 다음 달부터 사계절 하천 생태성 평가가 진행된다.
획일적 조성, 사전 수요분석 부족 등이 지적된 4대강 수변 친수공간(357개소)은 오는 6월까지 수변 공간 규모 조정, 활용도 제고, 자연 복원 등 개선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추경호 국무조정실장은 “4대강 사업이 가뭄 및 홍수예방, 수질 및 수생태계 개선, 레저문화 활성화 등 목적의 맞게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후속조치를 차질 없이 추진해 달라”고 강조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