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운영위에서 9일 청와대 문건 유출 사건에 대한 현안보고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김영한 민정수석비서관의 불출석으로 회의가 50여분 만에 정회됐다.
김 수석은 이날 운영위에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김 수석은 사유서에서 “대통령 비서실장이 당일 운영위원회 참석으로 부재 중인 상황이므로 긴급을 요하는 상황에 대비할 필요가 있고, 전국의 민생안전 및 사건 상황 등에 신속히 대응해야 하는 업무적 특성도 있어 부득이 참석할 수 없음을 양해해 주시기 바란다”고 밝혔다.
이에 야당 소속 운영위원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새누리당 위원들은 전례가 없다며 맞서면서 설전이 벌어졌다.
야당 의원들은 “문건 유출 사건이 민정수석비서관실에서 일어난 일인데 민정수석이 출석 안하면 국민적 의혹을 제대로 짚어 물을 수 있겠느냐”며 “오늘 운영위를 개최한 근본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청와대가 이번 사태에 대한 인식이 잘못됐다면서 요청한 자료제출이 되지 않고 있다고 불만을 성토했다.
이에 맞서 새누리당 의원들은 “민정수석은 문건유출과 관련해 직접 관련성이 없다”면서 “청와대를 총책임지는 만큼 김기춘 실장을 상대로도 충분히 진행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새누리당 김도읍 의원이 과거 문재인 수석이 한 번 출석한 것일뿐이라고 주장하자 새정치연합 박수현 의원은 “지금까지 민정수석이 5번이나 출석한 적 있다”면서 설전을 벌이기도 했다. 또한 김 의원이 ‘농단’이라는 표현 자제를 이완구 위원장에게 사용을 못하게 해달라고 요청하면서 과거 DJ 정권 사례를 언급하자 야당 의원들이 항의하기도 했다.
여야간의 설전이 이어지자 이완구 위원장은 “회의 진행이 매우 어렵다”며 정회를 선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