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항명’으로 인식 “인사권자에 해임 건의 등 엄중 책임 물을 것”

김영한 민정수석은 9일 오후 “문건 유출 사건 이후 보임해 사건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나의 출석 여부가 핵심쟁점으로 부각되는 것은 말 그대로 정치 공세라고 생각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민 대변인에 따르면, 김 수석은 “지난 25년간 특별한 경우 외에는 민정수석이 국회에 출석하지 않는 것이 관행으로 정착돼 왔던 것인데, 정치공세에 굴복한 나쁜 선례를 남기지 않기 위해 출석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김 수석은 다만,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본인이 사의를 표명하는 것이 도리라고 생각했다”고 덧붙여 전했다.
민경욱 대변인은 이와 관련, “청와대는 김 수석이 여야 합의사항과 대통령비서실장의 지시를 따르지 않은데 대해 인사권자에게 해임을 건의하는 등 엄중한 책임을 묻겠다”고 강경 조치를 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경한 수석은 사의 표명 직후 사표를 작성했고, 김 수석의 사의 표명은 박근혜 대통령에게도 보고 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민경욱 대변인은 김경한 수석의 국회 불출석 및 사의 묘명을 ‘항명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엄중한 책임을 묻겠다는) 이 말에 다 녹아 있다고 본다”며 “지금 이 상황은 청와대도 예상치 못한 돌방상황”이라고 사실상 항명을 인정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