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한 민정수석 “정치공세 굴복하지 않기 위해 출석 거부”
김영한 민정수석 “정치공세 굴복하지 않기 위해 출석 거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靑, ‘항명’으로 인식 “인사권자에 해임 건의 등 엄중 책임 물을 것”

▲ 김영한 청와대 민정수석이 국회 운영위 불출석 이유와 관련해 정치공세에 굴복하지 않기 위해서라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청와대는 김 수석의 이 같은 행동을 항명으로 받아들여 엄중히 책임을 묻겠다는 뜻을 밝혔다. ⓒ뉴시스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의 지시에도 불구하고 국회 운영위원회 출석을 거부, 사의까지 표명해 항명 파문을 일으킨 김영한 청와대 민정수석이 “정치공세에 굴복한 나쁜 선례를 남기지 않기 위해 출석을 거부했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영한 민정수석은 9일 오후 “문건 유출 사건 이후 보임해 사건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나의 출석 여부가 핵심쟁점으로 부각되는 것은 말 그대로 정치 공세라고 생각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민 대변인에 따르면, 김 수석은 “지난 25년간 특별한 경우 외에는 민정수석이 국회에 출석하지 않는 것이 관행으로 정착돼 왔던 것인데, 정치공세에 굴복한 나쁜 선례를 남기지 않기 위해 출석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김 수석은 다만,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본인이 사의를 표명하는 것이 도리라고 생각했다”고 덧붙여 전했다.

민경욱 대변인은 이와 관련, “청와대는 김 수석이 여야 합의사항과 대통령비서실장의 지시를 따르지 않은데 대해 인사권자에게 해임을 건의하는 등 엄중한 책임을 묻겠다”고 강경 조치를 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경한 수석은 사의 표명 직후 사표를 작성했고, 김 수석의 사의 표명은 박근혜 대통령에게도 보고 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민경욱 대변인은 김경한 수석의 국회 불출석 및 사의 묘명을 ‘항명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엄중한 책임을 묻겠다는) 이 말에 다 녹아 있다고 본다”며 “지금 이 상황은 청와대도 예상치 못한 돌방상황”이라고 사실상 항명을 인정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