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수주목표를 초과달성하며 축배를 든 대우조선해양이 노조의 파업안 찬반투표 통과로 24년 만에 파업이 현실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 노동조합은 13일 “지난 12일부터 오늘까지 진행된 통상임금 관련 쟁의행위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투표 인원 중 96%가 찬성했다”고 밝혔다.
투표대상 총 6874명 중 이번 투표에 참석한 인원은 5649명이며 투표자의 96.4%인 5446명이 찬성표를 던졌다. 전체 인원 대비 찬성률은 79.2%다. 반대표는 198표에 그쳤고 기권표는 1255표로 집계됐다. 노조 측은 기권표의 상당수는 해외파견자나 산재 등으로 출근하지 못한 근로자 때문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노조는 쟁의행위가 높은 찬성률로 찬반투표를 통과함에 따라 조만간 쟁의대책위원회 체계로 전환하고 통상임금 투쟁 중심으로 역량을 집중할 것으로 알려졌다. 법적으로는 쟁의행위 가결 10일 후부터 파업에 돌입할 수 있기 때문에 노조는 파업 카드를 무기로 사측에 압박을 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 실제로 대우조선해양 노조가 파업에 들어가면 1991년 이후 24년 만이다.
한편 대우조선해양 노사는 통상임금 문제에서 이견을 보이고 있다.
사측은 총 800%의 상여금 중 설·추석 상여금 200%를 제외한 나머지 600%만 통상임금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고 노조는 800%를 전부 반영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노사 양측은 지난해 11월부터 통상임금 문제를 두고 8차례에 걸쳐 교섭에 나섰지만 결국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노사는 지난해 통상임금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한 임금 및 단체협상(임단협)을 마무리했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