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 국무부의 성 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13일(현지시각) 북한의 핵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의제를 다뤘던 6자 회담의 한국, 미국, 일본 3국의 수석대표가 이달 말 도쿄에서 만나 3자회담을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고 일본의 지지통신이 보도했다.
김 특별대표는 이 계획을 미 하원 외교위원회의 소니 해킹 청문회에서 밝혔다. 세 명의 수석대표는 한국 외교부의 황준국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미국의 성 김 대북정책 특별대표, 일본 외무성의 주니치 이하라 아시아태평양 국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성 김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작년 12월 8일 일본 도쿄에서 이하라 국장과 만난 바 있다.
이 회담에서는 한미일 3국이 북한의 인권 문제와 사이버 보안 문제를 다룰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레이시아 반관영 베어나마가 14일 보도했다.
그러나 북한 대사는 북한은 소니픽처스에 대한 대규모 해킹 공격과 전혀 무관하며 미국에게 북한의 소행임을 밝힐 증거를 제시할 것을 요구했다. 미국은 연방수사국(FBI)이 소니 해킹의 배후는 북한이라는 일방적 주장을 하고 밀고나온 뒤에 북한에 대해 추가 제재 조치를 결정했다. 그러나 몇몇 사이버보안 전문가들은 소니의 전 직원 등 제3자가 개입됐을 수도 있다고 말하고 있다. 미 연방수사국은 북한 배후설을 확신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북, “우리가 소니 해킹한 증거 제시하라”
미, “북 지원하는 전세계 금융기관에 제재 강화해야”
안명훈 유엔(UN·국제연합) 차석대사는 13일 뉴욕 유엔본부에서 이례적으로 기자회견을 열고 북한의 소니 해킹 연루설을 강력히 부인했다. 그는 “북한은 소니 해킹과 무관하다. 그것은 사리에 맞지 않는 행위”라며 “우리는 진정 미국이 증거를 제시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또 북한은 지난주에 미국에게 해킹 사건에 대한 “공동 조사를 할 것”을 제안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미 정부는 연방수사국의 주장을 전폭 수용하며 소니 해킹에 대한 다른 가능성을 전부 무시하며, 지난 2일 북한정찰총국·조선광업개발무역회사·조선단군무역회사와 10명의 관료를 제재 대상으로 지정하는 행정명령을 내렸다.
미 재무부의 대니엘 글레이저 테러금융담당 차관보는 13일 브리핑에서 북한 제재의 목적은 고립이라고 명시했다.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 에드 로이스 위원장은 소니 해킹 청문회에서 “우리는 잔혹하고 위험한 북한 정권을 지원하는 아시아 및 전 세계 금융기관에 대한 제재를 더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시엔엔(CNN)이 14일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