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열정페이’ 논란을 일으켰던 이상봉 디자이너가 SNS를 통해 공개적으로 사과의 글을 올렸다. 열정페이는 청년층에게 꿈과 열정을 펼치게 해주는 대신 낮은 임금을 주는 일부 업계의 관행을 꼬집는 신조어다.
14일 이상봉 디자이너는 자신의 트위터와 페이스북에 “패션업계의 젊은 청년들과 이상봉을 사랑하는 많은 분들께 진심으로 깊은 사과의 말씀드린다”고 사과했다.
이상봉은 “디자이너로서 삶에만 집중하다 보니 회사 경영자로서 본분에 충실하지 못했다. 이 모든 상황은 모두 저의 부족함에서 시작된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번 일들을 통해서 정말 제 자신을 돌아보고 반성하면서 자숙하겠다”며 “패션업계 현장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문제점들을 듣겠다”고 덧붙였다.
이어 “패션업계의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문제점을 개선하고 현실적인 대안에 대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상봉은 “이번 기회를 통해 많은 학생들과 예비 패션디자이너들에게 귀감의 될 수 있는 이상봉이 될 수 있도록 정말 철저히 노력하겠다”면서 “다시 한 번 깊은 사과를 드린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8일 이상봉은 패션노조와 청년유니온이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펼친 ‘2014 청년 착취대상’ 시상식에서 대상으로 선정됐다. 패션노조가 지난해 12월27일부터 31일까지 ‘2014 청년착취대상’이라는 제목의 온라인 공개댓글 투표를 진행한 결과 이상봉은 투표자 111명 가운데 59표를 받았다.
이와 함께 이상봉 디자인실이 야근수당을 포함해 견습에게 10만원, 인턴에게 30만원, 정직원에게 110만원의 급여를 준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비난여론이 폭주했다.
고용노동부는 논란이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자 수습, 인턴, 아르바이트생에게 낮은 임금을 주는 것이 관행이 되다시피 한 의류‧패션 업체 등을 대상으로 광역단위의 특별 근로감독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