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조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동부그룹의 김준기 회장 일가가 동부화재 보유지분의 90% 이상을 금융권에 담보로 잡힌 상태인 것으로 확인됐다.
22일 재벌닷컴 등에 따르면 김준기 회장과 장남인 김남호 동부팜한농 부장, 장녀 김주원 씨 등 김 회장 일가는 동부화재 보유 지분 1839만9660주 가운데 90.08%(1657만5163주)가 금융권에 돈을 빌리기 위한 담보로 제공한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회장 일가가 보유한 동부화재 주식은 전체의 26.0%다.
가족 구성원별로 살펴보면 장남인 김남호 부장의 동부화재 주식 995만1520주의 99.99%가 금융권에 담보로 잡혀 있고, 장녀 김주원 씨의 보유의 동부화재 주식 287만9640주의 99.95%도 금융권의 담보로 제공된 상태다. 김준기 회장의 동부화재 주식은 556만8500주 중 67.28%만 담보로 묶여 비율이 가장 낮다.
동부화재가 동부캐피탈을 품에 안으면서 종합금융사로 재기를 노리는 상황에서 김 회장 일가의 동부화재 지분 담보가 주목받는 것은 최근 동부화재 주가 흐름이 심상치 않기 때문이다. 통상 주식담보대출을 받은 상황에서 주가가 떨어지면 추가로 보유주식을 담보로 제공하거나 대출을 상환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대출해 준 금융기관이 담보 주식을 팔아버리는 반대매매가 나올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현재 금융권에서는 김 회장 일가의 동부화재 지분의 가치가 대출 당시보다 하락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 금융권이 반대매매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동부화재 주가가 5만원대 수준이던 작년에 담보 설정이 이뤄진 만큼 실제 대출규모는 주당 4만원대 안팎으로 추정되지만, 동부화재의 주가는 작년 8월 말을 정점으로 최근까지 하락세를 보이며 5만원선을 위협받고 있다.
만약 주가가 더 하락할 경우 금융기관들이 동부화재 주식을 반대매매하면 김 회장 일가 보유 지분의 담보력이 떨어질 수 있다. 동부화재 주가는 작년 8월 27일 6만3300원에서 전날 5만2100원으로 20% 가까이 하락한 상태다.
더욱이 동부화재는 동부그룹 금융계열사의 최상위에 위치해 있다. 동부그룹은 동부화재를 정점으로 동부생명, 동부증권, 동부저축은행, 동부자산운용 등의 계열사를 거느리는 지배구조다.
김 회장이 제조계열에 대한 지배력을 잃으면서까지 동부그룹의 실질적인 캐시카우인 동부화재를 중심으로 생명과 증권, 자산운용, 저축은행 등 금융계열사를 묶어 지배구조를 금융사 중심으로 재편할 복안을 가지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한편 김 회장 일가가 보유한 다른 상장 계열사 지분도 대다수 금융권에 담보로 묶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부증권의 김 회장 일가 보유 주식(518만7947주) 중 89.41%가 담보로 제공됐고, 동부제철 보유주식(801만1577주) 중 44.19%도 담보로 잡혔다. 김 회장 일가가 보유한 계열사 주식의 담보비율은 동부건설 85.55%, 동부하이텍 59.79%, 동부CNI 29.30% 등이다.
김 회장(3221억원)과 김남호 부장(5516억원), 김주원 씨(1568억원) 등 김 회장 일가의 동부그룹 상장계열사 지분의 담보 규모는 총 1조300억원어치에 달한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