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셋값 고공행진에 매매 전환 사례 잇따라
전셋값 고공행진에 매매 전환 사례 잇따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세난, 낮은 금리, 정책적 지원 기대 심리 등 복합적 요인 작용
▲ 서울에서 전셋값이 고공행진을 거듭하자 전세 수요자들이 매매로 돌아서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 홍금표 기자

새해 들어서도 전셋값이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는 가운데 서울에서 전세 수요자들이 매매로 돌아서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실제로 지난주 서울 송파와 성북 등에서 전세 수요자들이 전셋집을 구하지 못하자 결국 집을 매입한 사례들이 연달아 나타난 것으로 알려졌다.

김은진 부동산114 리서치팀장은 “일부 지역에서 전세 수요자들이 매매로 돌아서면서 매매가격이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업계에 따르면 이 같은 전세 수요의 매매 전환은 전세가격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의 격차가 크게 좁혀진 탓으로 보인다. 구하기도 힘들고 매매와 큰 가격 차이가 나지 않는 전세 매물을 구하느니 가격이 큰 차이가 나지 않는 매매를 선택하는 수요자들이 속출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김 팀장은 여기에 “최근 금리가 낮아져 이자 부담이 줄었고, 정책자금을 통한 주택담보대출 및 부동산 금융 규제 완화 등의 정부 정책도 한몫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지난해 나온 9·1 부동산 대책과 작년 말 '부동산 3법'의 국회 통과 등이 이어지면서 주택가격이 하락하지는 않을 것이란 심리적 기대감이 시장에 조성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진단도 나온다.

이런 수요들로 인한 탓인지 송파의 경우 아파트 매매가격이 지난주 서울에서 가장 높은 0.14%나 올랐다. 또한 성북에서도 전세입자가 매매로 돌아서면서 서울에서는 세 번째로 높은 0.07%의 상승폭을 보였다.

한편 전통적인 이사 비수기인 1월의 주택 거래도 상당히 활발한 편으로 조사됐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새해 첫 날부터 지난 23일까지 서울의 주택 매매거래량은 4924건으로 집계돼 월말까지 6600여건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거래량 5544건보다 20%가량 많은 것이다.

김 팀장은 “올해도 연초부터 재건축 이주 수요에 학군 이주 수요 등이 겹치면서 전셋값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어서 앞으로 전세 수요의 매매 전환이 더 확대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