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4년이 흘렀지만, 국내 소비자 10명 중 9명이 여전히 방사능 오염에 대해 불안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내 유통식품 12개 품목 180종을 대상으로 방사능 오염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전제품이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한국소비자원은 지난 9월 수도권 거주 만 20세 이상 성인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92.6%가 일본 원전사고로 인한 방사능 유출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이 중 38.8%는 매우 영향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53.8%는 영향을 받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소비자들은 방사능 오염이 가장 우려되는 분야로 어패류 등 수산물(52.9%)을 꼽았다. 이어 오염된 농수산물 및 식품수입(18.5%), 방사능 비·대기에 인체 직접 노출(17.5%) 순이었다. 식품 방사능 오염의 경우 국내산(72.5%)보다 일본산(93%)이 더 불안하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이와 관련해 같은 날 소비자원이 발표한 바에 따르면 국내 유통식품 12개 품목(천일염, 차류, 쌀, 수산물가공품 등) 180종을 대상으로 방사능 오염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전제품이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국민들을 대상으로 한 일본 원전사고 및 방사능에 대한 정보 제공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실제 소비자의 76.1%는 일본 원전사고와 방사능 관련 정보가 ‘국민들에게 충분히 제공되지 않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68.9%는 일본 원전사고에 대한 우리 정부의 조치 및 대응 내용을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는 주로 TV 방송(49.8%)과 인터넷(31.3%), 신문(13.0%)을 통해 방사능 관련 정보를 얻고 있으며, 정부부처 및 유관기관 홈페이지를 통해 취득한 경우는 1.3%에 불과했다.
소비자가 생각하는 방사능 관련 정보의 효과적인 전달 방법은 ‘뉴스·신문 등의 언론매체를 통한 전달’(53.8%), ‘정부부처 및 유관기관 홈페이지에 공개(16.8%)’, ‘관련 전문가를 통한 교육 또는 세미나(16.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 정보원에 대한 신뢰도는 ‘환경단체·소비자단체’가 32.0%로 가장 높았고, ‘원자력 분야에 종사하는 국내·외 전문가(26.0%)’와 ‘정부기관(23.0%)’은 비슷한 수준으로 집계됐다.
일본 원전사고 및 방사능과 관련해 소비자들은 ‘식품‧환경 등의 방사능 오염정도와 인체 안전성(61.5%)’에 대한 정보를 가장 필요 하다고 판단하고 있었고, 정부가 우선적으로 ‘국내 원전에 대한 점검 및 사고대응 매뉴얼 관리’(34.5%)를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일본 원전사고 및 방사능에 대한 국민 불안감 해소를 위해 식품의 방사능 오염실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라며 “관련부처에는 방사능 관련 대국민 정보 공개 확대 및 홍보 강화 방안을 마련하도록 요청할 예정”이라고 말했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