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의 청문회를 앞두고 차남 병역, 토지 증여, 논문 표절 등 논란과 더불어 국보위 활동 경력도 도마 위에 올랐다.
새정치민주연합은 28일 논평을 통해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는 자신이 복무했던 1980년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내무분과위 시절에 무슨 일을 했는지 스스로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일국의 총리 후보자가 과거 공직시절 무슨 일을 했는지를 아는 것은 국민의 알권리이기도 하지만 우리나라 민주주의 역사의 기록에서 중요한 일”이라고 덧붙였다.
새정치연합은 “국민들은 이미 총리 후보자가 지난해 청와대에서 박근혜 대통령 면전에서 ‘각하’라는 칭호를 세 번이나 부르는 장면을 보고 이 후보자의 민주주의에 대한 소양과 시대감각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 바 있다”고 밝혔다.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국보위)에 대해서는 “1979년 12.12사건을 계기로 권력을 실질적으로 장악한 신군부가 80년 5.18 직후인 5월31일 비상계엄을 통해 설치한 초법적 기구”라며 “당시 이완구 후보자는 국보위 출범 초기부터 파견근무를 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새정치연합은 “이 시절 국보위는 ‘국민적 기대와 신뢰를 구축한다’는 명분 하에 사회정화작업을 추진했는데 소위 인권유린의 대명사격으로 80년 8월부터 시작된 ‘삼청교육대’가 대표적인 경우”라며 “이완구 후보자는 6개월 여 동안 모두 6만755명이 법원의 영장없이 체포돼 무려 4만 여명이 사실상 구금상태에서 가혹행위를 당한 세계 인권사상 유례없는 ‘삼청교육대’를 비롯한 국보위의 주요 내무분과 업무에서 구체적으로 누구의 지시에 의해 어떤 업무를 수행해 보국훈장 광복장까지 받았는지를 설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새정치연합은 “만약 이완구 후보자가 국보위 내무분과 시절 당시 국보위의 주요 정책에 깊숙이 간여했다면 이는 반드시 규명돼야 할 일”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