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승인 심사 앞둔 롯데홈쇼핑, ‘갑질’ 근절책 발표
재승인 심사 앞둔 롯데홈쇼핑, ‘갑질’ 근절책 발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영투명성위원회 출범·클린경영 활동비 지급 “불공정 관행 근절토록 할 것”
▲ 재승인 심사를 앞둔 롯데홈쇼핑이 이권 개입 가능성이 있는 업무를 담당하는 전 직원에게 급여 외에 업무 활동비 명목으로 ‘클린경영 활동비’를 지급한다고 밝혔다.ⓒ롯데홈쇼핑

롯데홈쇼핑이 ‘갑질 문화’를 근절하기 위해 이권 개입 가능성이 있는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에게 급여 외에 업무 활동비 명목으로 이달부터 ‘클린경영 활동비’를 지급한다고 발표했다.

2일 롯데홈쇼핑은 이같이 밝히고 “실무 직급 직원에게도 부서장이나 관리자에게만 주던 업무 활동비용을 지원함으로써 업무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공정 거래 관행을 차단하기 위한 취지”라고 설명했다.

클린경영 활동비 운영에 따라 영업부서 상품기획자(MD)뿐만 아니라 프로듀서, 쇼호스트, 구매, 품질관리 등 대외 업무와 직접 관련이 있는 부서의 전 직원들에게 매월 일정액의 활동비가 지급된다. 다만 사용내역을 회사에 보고해야 하며, 부정비리가 발생할 경우 ‘원스트라이크 아웃제’에 따라 전액 환수된다.

강현구 롯데홈쇼핑 대표이사는 “불공정 거래 관행 근절에 전 직원이 적극 동참해 투명한 경영문화가 자리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해 대표이사였던 신헌 전 롯데홈쇼핑 사장이 부하직원들과 짜고 인테리어 공사비를 과다하게 지급한 뒤 돌려받는 수법으로 회삿돈 수억원을 빼돌린 혐의 등으로 구속기소돼 징역 2년과 추징금 8800만원을 선고받은 바 있다. 이 사건으로 롯데홈쇼핑은 ‘비리홈쇼핑’이라는 딱지가 붙었다.

이에 롯데 홈쇼핑은 경영투명위원회를 설치하고 협력사 및 고객 분쟁 해결 등을 추진하는 등 갑질 문화를 없애기 위해 다양한 대책을 마련해왔다. 그룹 차원에서도 동반성장펀드를 5200억원에서 6000억원으로 늘리며 다수의 투명성 강화 및 협력사 지원책을 내놨다.

정치권에서도 롯데홈쇼핑 퇴출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분위기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문병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롯데홈쇼핑 임직원들이 슈퍼갑으로 행세하며 납품비리를 저질러 줄줄이 재판을 받고 있다”면서 “롯데홈쇼핑처럼 노골적인 납품비리를 저지른 업체는 일벌백계해야 한다. 퇴출까지 염두에 두고 재승인 여부를 심사해야 한다”고 강하게 비판한 바 있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