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반기문 제치고 차기 대통령 적합도 1위
문재인, 반기문 제치고 차기 대통령 적합도 1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재인 24.8% > 반기문 21.4% > 박원순 13.0% 順

 

▲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의원이 차기 대통령 적합도 여론조사에서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는 결과가 나왔다. 사진 / 홍금표 기자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을 포함한 차기 대통령 적합도 조사에서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1위를 차지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앞서 반기문 사무총장을 포함해 실시한 일부 여론조사에서 반기문 총장이 압도적으로 1위를 차지했던 것과 다른 결과다.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지난달 28~29일 이틀간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차기 대통령 적합도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문재인 의원이 24.8%의 지지를 얻으며 1위를 차지했다.

문재인 의원에 이어서는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이 21.4%로 2위에 올랐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3위였는데, 13.0%로 2위와 격차가 8.4%p나 됐다. 4위는 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으로 6.7%였고,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6.2%로 5위에 올랐다. 이어, 김문수 새누리당 보수혁신위원장이 5.7%,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 5.1%, 정몽준 새누리당 전 의원 3.7%, 안희정 충남지사 3.5%, 홍준표 경남지사 3.0%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국민의 경제적 삶을 향상시키는데 가장 적절한 차기 대통령 후보’ 질문에서도 문재인 의원은 20.3%로 1위였다. 이 질문에서는 반기문 사무총장보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높은 지지를 얻어 16.1%로 2위에 올랐다. 반기문 총장은 14.3%로 3위였다. 뒤를 이어서는 안철수 의원이 9.0%, 정몽준 전 의원 6.9%, 김문수 위원장 6.7%, 김무성 대표 6.0%, 이완구 후보자 5.4%, 홍준표 지사 3.5%, 안희정 지사 2.9%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저소득층을 비롯한 국민들을 골고루 잘 살 수 있게 하는데 가장 적절한 차기 대통령 후보’ 질문에서는 박원순 시장이 21.3%로 1위를 차지했다. 문재인 의원은 19.2%로 2위, 반기문 사무총장은 15.7%로 3위를 기록했다. 뒤를 이어 김문수 위원장(7.4%) > 안철수 의원(6.9%) > 정몽준 전 의원(5.3%) > 이완구 후보자(4.7%) > 김무성 대표(4.7%) > 홍준표 지사(3.9%) > 안희정 지사(2.8%) 등의 순이었다.

▲ 차기 대통령 적합도 여론조사 결과 / 리얼미터

‘계층간 차별을 해소하고 인권을 증진시키는데 가장 적절한 차기 대통령 후보’ 질문에서는 반기문 사무총장이 24.1%를 얻으며 1위에 올랐다. 문재인 의원은 21.1%로 2위였고, 박원순 서울시장은 14.1%로 3위였다. 뒤를 이어, 안철수 의원(7.6%) > 김문수 위원장(5.5%) > 김무성 대표(5.4%) > 이완구 후보자(5.2%) > 홍준표 지사(3.5%) > 정몽준 전 의원(3.5%) > 안희정 지사(3.1%) 등의 순이었다.

‘차기 대통령 후보 중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는데 가장 적절한 인물’에 대한 질문에서는 문재인 의원이 21.7%로 1위를 차지했다. 반기문 사무총장이 2위였고, 박원순 서울시장 12.0%로 3위였다. 김무성 대표는 7.6%로, 안철수 의원(7.3%)보다 높게 나타났다. 뒤를 이어 김문수 위원장 5.9%, 이완구 후보자 4.3%, 안희정 지사 4.1%, 정몽준 전 의원 3.5%, 홍준표 지사 3.3% 순으로 지지를 얻었다.

‘남북의 평화와 통일을 도모하는데 가장 적절한 차기 대통령 후보’ 질문에서는 반기문 사무총장이 30.9%로 1위를 차지했고, 문재인 의원이 25.6%로 뒤를 이었다. 국민 과반 이상이 반기문-문재인 두 인물에 높은 점수를 준 가운데, 3위부터는 10% 미만의 미약한 지지를 얻었다. 3위 박원순 시장은 7.4%, 안철수 의원 6.1%, 이완구 후보자 4.5%, 김문수 위원장 4.3%, 김무성 대표 4.0%, 정몽준 전 의원 3.9%, 홍준표 지사 3.4%, 안희정 지사 1.6% 순이었다.

한편, 차기 대통령의 최우선적 국가과제에 대해서는 응답자 중 가장 많은 30.1%가 ‘경제민주화/소득재분배’를 꼽았다. 19.6%는 ‘국가경제 성장’을 꼽았고, 16.3%는 ‘국민복지 증진’을 답했다. 이어서 ‘고용증대’ 9.7%, ‘남북평화와 통일’ 7.9%, ‘민주주의 발전’ 5.9%, ‘차별해소 인권증진’ 5.8%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50%)-유선(50%) 전화 임의걸기(RDD)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 응답률은 6.5%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