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돌연 현대글로비스 지분 13.39%의 블록딜을 시도해 증권시장에 파란을 일으켰던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과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이 블록딜을 다시 추진한다.
현대차그룹은 5일 정몽구 회장과 정의선 부회장이 보유 중인 현대글로비스 주식 1627만1460주(43.39%) 가운데 502만2170주(13.39%)를 매각하기로 하고 국내외 기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투자자 모집에 착수했다.
이번 매각 규모는 지난달 무산됐던 블록딜 당시의 규모와 동일하다. 당시 정의선 부회장은 322만2170주, 정몽구 회장은 180만주를 내놨다. 매각이 성사되면 정몽구 회장과 정의선 부회장이 보유한 현대글로비스 지분율은 29.99%로 낮아진다.
예상 매각 가격은 이날 현대글로비스 종가(23만7000원) 대비 2∼4% 할인된 22만7520∼23만2260원으로 정해졌다. 지난 블록딜 시도 당시의 예상 매각 가격은 당시 종가인 30만원보다 7.5~12% 할인된 26만4000~27만7500원이었다. 할인율이 낮아졌지만 매각 가격 자체가 크게 낮아진 만큼 매수자 입장에서도 부담이 덜 할 것으로 보인다.
블록딜 대상 물량이 전량 소진되지 않으면 주간사인 시티글로벌증권에서 잔여 물량을 인수키로 했다.
이번 블록딜 재추진은 공정거래법과 시행령 개정 취지에 적극 부합하기 위한 것이라고 현대차그룹은 설명했다. 2월부터 전면 시행된 개정 공정거래법 및 시행령은 자산총액 5조원 이상 대기업그룹 중 대주주 일가 지분이 상장 30%를 초과하는 계열사와의 내부거래 금액이 200억 원 또는 연간 매출의 12% 이상일 경우에 이를 규제하고 있다.
블록딜이 성사되면 정 회장 부자의 현대글로비스 지분은 29.99%로 낮아져 ‘일감 몰아주기’ 규제를 피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연간 100억여억원의 공정과세를 축소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분석된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