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가 자신에 대한 각종 의혹들에 대해 방송보도를 통제하고 언론을 회유 협박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국회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소속 김경협 의원은 6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완구 총리 후보자는 내정된 초기에는 제기된 각종 의혹들에 대해 ‘자판기해명’, ‘공개검증’ 운운하며 자신만만하더니 지금은 국회에서 요구한 자료조차 제출하지 않고 있다”며 “최근에는 총리 후보에게 제기되는 각종 의혹들에 대해 ‘방송보도를 통제하고 언론을 회유 협박했다’는 매우 신빙성 있는 제보가 접수됐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것이 사실이라면 심각한 문제이며 총리로서 기본적 자질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며 “만약 방송보도를 통제했고 일선 언론기자들을 회유하고 협박했다면 지금도 상당한 수준으로 침해받고 있는 언론의 자유가 더욱 심각한 위협에 빠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라고 명확히 사실관계를 밝힐 것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제보 받은 내용과 관련해 “이완구 후보자는 총리후보로 내정된 이후 1월 말경, 언론에서 부동산투기의혹 등이 제기되자 몇몇 종편 방송사 간부들에게 전화로 ‘보도를 막아 달라’고 종용하여 방송보도를 막았다는 내용”이라며 “또, 기자들과의 오찬 간담회에서는 몇몇 언론사 간부들과 친분을 과시하고 ‘자신이 직접 방송보도를 막았다’는 사실을 자랑스럽게 얘기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덧붙여 “젊은 기자들에게 언론사 간부들에게 얘기하면 언론사에서 그 기자는 클 수도 있고 자신도 모르게 죽을 수도 있으며 언제든지 보직을 바꿀 수도 있다는 취지의 호언장담도 덧붙였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자신의 구미에 맞는 기사를 써주면 키워주고 불리한 기사를 쓸 경우 언론사를 압박하여 인사상의 불이익을 주겠다는 노골적인 회유이고 협박이자, 언론과 기자에 대한 모독”이라며 “갑중의 갑, 슈퍼갑의 횡포”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김 의원은 아울러, “이완구 총리 후보자는 충남도지사 시절, 도지사의 해외 출장시 도민들의 세비로 언론인들의 항공료와 체재비를 지급하는 조례 발의를 시도한 적도 있다”며 “이에 대해서도 직접 해명해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김 의원은 거듭 “이완구 총리후보자는 아직도 지난 80년 근무했던 국보위방식으로 언론을 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있거나, 본인이 총리후보가 아닌 총통후보로 착각하고 있는 듯하다. 독재적 발상”이라고 강도 높게 비난했다.
또, “언론은 권력의 남용과 부패를 감시하고, 세상에 진실을 알려 부정을 바로잡는 임무를 담당하고 있다”며 “그러나 이완구 총리 후보자는 이러한 언론을 자신의 입맛에 따라 얼마든지 통제할 수 있고 통제하겠다는 속내를 드러내 보인 것”이라고 이 후보자의 인식 수준을 강하게 문제 삼았다.
김 의원은 “만약 이런 분이 총리가 된다면 대한민국의 언론은 어찌 되겠는가? 총리가 된다면 자신에게 불리한 기사, 정부비판기사는 철저히 통제하고 국민의 눈과 귀를 막겠다는 것 아니냐”며 “국민이 낸 세금으로 정부가 언론을 관리 통제하는 나라가 되지 않을까 심히 우려된다. 이완구 총리 후보자는 솔직하게 해명하고 총리 후보자로서 거취 문제를 스스로 결정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