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의 시대를 살아가는 힘겨운 청춘군상
고통의 시대를 살아가는 힘겨운 청춘군상
  • 이문원
  • 승인 2004.01.31 13: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극 "비닐 우산은 하늘이 보인다"
"비닐 우산은 하늘이 보인다". '비닐 우산'이라는, 지극히 한국적인 빈곤함의 표상을 제목으로 내세웠기에, 얼핏 창작연극이 아닌가하는 짐작을 하게 되지만, 사실 "비닐 우산은 하늘이 보인다"는 러시아 작가 라주모프스카야가 쓴 작품 "집으로"를 재창작, 재구성한 작품이다. 그리 오래지 않은 1995년에 씌어진 이 작품은, 페레스트로이카의 거센 물결 속에서 기성세대로부터 소외받고 만 청소년들의 고달픈 삶, 절망으로 그득찬 '새로운 러시아'의 청춘을 그려낸 작품으로, 성장소설 형식에 기댄다기 보다는 현 러시아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혼란과 도덕적, 종교적 고통에 대해 탐구하는 '고통의 서사극'이었다. 쌍뜨페쩨르부르크의 폐허를 전전하는 청소년들이 삶을 차분하게 조망하면서, 과연 자본주의가 러시아에 가져다 준 것은 무엇인지, 그리고 가치관의 혼란의 벌어지는 와중에 '인간의 구원'은 과연 어떤 형식으로서 다가올 수 있는지에 대해 토로하는 "집으로"는, 한국적 상황으로 번안, 재구성되면서 장기화되어가는 경제불황 속을 살아가는 요즘 청소년들의 의식세계를 관통하는 '정신의 연극'으로 재등장하고 있다. 모든 예술은 '고유문화'의 영역 속에서 살아나가고 있지만, 번안된 예술의 경우, 그 문화경 배경이 확연히 다른 상황에서 '주제'만을 알려주는 형식이기에 어딘지 조금 답답하다는 느낌이 드는 경우가 많지만, "비닐 우산은 하늘이 보인다"의 경우, 그 지극히 한국화된 제목만큼이나 한국의 문화와 정서에 고루 부합되는 쾌거를 보여주고 있으며, 무책임한 낙관주의로 비칠 수 있는 '희망'이라는 주제에 대해 보다 찬찬히, 면밀히 탐구해냄으로써,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가 절절히 절감할 수 있는 종류의 '희망', 비로소 성숙한 의미로서 재탄생된 '희망'의 메시지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이미 청소년의 방황과 교육현실을 탐구한 "청춘예찬", 현대사회에서의 가족의 의미를 다시 한번 돌아보게 한 <몽환곡>, 청소년 왕따 문제를 헤짚은 "나의 교실" 등의 작품으로 '청소년 문제'에 관해 '통달'하고 있을 법한 베테랑이 모여 만들어낸 "비닐 우산은 하늘이 보인다"는, 원작이 지닌 절대적 주제, 즉 각박한 현실 속에서 과연 우리는 어떤 방식으로 구원받을 수 있는지, 그리고 '경제중심국가'에 살아가면서 '경제불황'이란 우리에게 어떤 의미로서 다가오는지에 대해 탐구하는, 흔치 않은 기회가 될 것이다. (장소: 동숭무대 소극장, 일시: 2004.01.21∼02.29)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