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언론 외압과 관련한 녹취록 사태에 대해 10일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는 “청문회 과정에서 적절치 못한 제 처신에 대해 관련 언론인, 국민, 언론전반에 걸쳐 사죄의 말씀과 함께 통렬히 반성한다”고 공식 사과했다.
이 후보자는 이날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평소 언론관에 관계없이 불찰과 부덕의 소치 부주의로 국민여러분과 언론사에 심려를 드리고 여러 가지 문제 대오각성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후보자는 “‘언론 없는 정부’와 ‘정부 없는 언론’ 중에 선택한다면 저는 정부 없는 언론을 선택하겠다”라며 “김영란법에서도 법적 적용대상에 언론인이 포함돼서 혹시 언론의 자유나 국민의 알권리를 침해되는 것을 우려해 유일하게 반대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언론은 정부정책을 펴는데 중요한 한 축이며 민주주의를 제대로 지키는 데 대단히 중요한 축이다”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론 백번 사죄의 말씀을 올리고 의원 언론 국민 정말로 다시한번 사과드리겠다. 지적에 송구스럽게 생각하고 정확한 언론관을 갖도록 조심하겠다”고 고개 숙여 사과했다.
언론 외압과 관련해 청문회에서의 녹취록 공개를 두고 여야 의원들의 공방이 이어졌다. 야당 측 의원들은 청문회에서 녹취록을 공개하고 제재를 받은 적이 한 번도 없다며 공개를 촉구한 반면 여당 측 의원들은 불법 녹취로 인한 것으로 원칙에 어긋난다고 공개를 거부하고 있다.
새누리당 이장우 의원은 “비밀리에 녹취하고 비밀 음원을 야당 의원실에 넘기고 공영방송이 그것을 메인 뉴스시간에 보도한 것은 명백한 언론의 취재 윤리 위반”이라며 “언론의 중립 의무를 명백히 훼손한 정치개입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새정치민주연합 김경협 의원은 “이 후보자는 (언론 외압 의혹과 관련해) 다소 거칠고 정제되지 못한 표현을 사과했다. 단지 이게 표현의 문제인가”라며 “2007년에 대전 KBS 방송 토론회에서 패널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방송 토론을 파행시켰고, 2009년 대전 방송에서 불리하게 질문하는 패널을 빼라고 하면서 방송을 파행시켰다”고 꼬집었다.
특히 녹취 내용 가운데 ‘언론인들 내가 대학 총장도 만들어주고 교수도 만들어줬다. 내 친구도 대학 만든 놈들 있으니까’라는 발언한 것에 대해 이 후보자는 “그렇게 말한 기억이 없다”고 부인했다.
그러자 유 의원이 “녹취록에 있는 말”이라고 추궁했고, 이에 이 후보자는 “(녹취록을) 개인적으로 들었으면 좋겠다”고 답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