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현아 전 대항항공 부사장의 ‘땅콩 회항’ 사건 조사 과정에서 대한항공 출신이 지나치게 많다는 이른바 ‘칼피아’ 논란을 빚었던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가 사건 이후에도 대한항공 출신을 채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변재일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국토부가 지난달 16일 대한항공 출신의 정비사를 항공안전감독관으로 신규채용했다고 밝혔다.
이 감독관은 대한항공에 1981년 입사해 지난해 정년퇴직했고 지난해 12월 29일 1차 합격한 후 지난달 16일 최종합격, 지난 6일 국토부에 처음으로 출근했다.
더군다나 지난해 12월은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의 ‘땅콩회항’ 사건을 통해 대한항공과 국토부 공무원의 유착 실체가 드러나면서 ‘칼피아’ 논란이 지속되던 시기였다. ‘칼피아’란 대한항공의 영문명인 Korea Airline의 약자인 KAL과 마피아의 합성어다.
특히 최종합격일은 국토부가 전문직 인력채용 구성 및 방식의 개선안을 발표한지 불과 2주 만이다.
변재일 의원은 국토부가 지난해 12월 2일 인사공고 후 29일 1차 합격자 발표, 올 1월 8일 면접, 16일 최종합격자 발표 등 칼(KAL)피아 논란이 지속된 상황에서 채용절차를 무리하게 추진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한항공과 국토부의 유착관계에 대한 지적이 계속된 시기에 인사개혁을 공언했던 국토부가 대한항공 출신자를 또다시 신규 채용했다”며 “국토부는 칼피아 양산소라는 비난을 면하지 못할 것이다”라고 비판했다.
변 의원은 또 “항공기 안전과 관련된 규제감독업무를 수행하는 국토부의 항공안전감독관 17명 중 15명이 대한항공 출신으로 구성된 것은 문제”라며 “특정항공사 출신으로 편중되는 문제 개선하기 위한 항공법 개정안을 2월 중 발의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국토부는 ‘땅콩회항’ 조사반 6명 중 2명이 대한항공 출신 항공안전감독관으로 밝혀지면서 논란에 휩싸인 바 잇다.
한편 국토부는 이 감독관의 채용에 대해 “‘땅콩회항’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반박하고 “당시의 채용은 ‘땅콩회항’ 발생일인 12월 5일 전의 12월 2일 인사 공고를 통해 이뤄졌다”면서 “추후 채용 시 대안을 마련해서 뽑겠다”고 밝혔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