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롯데월드 타워, 부르즈 할리파보다 안전”
“제2롯데월드 타워, 부르즈 할리파보다 안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계적 초고층 빌딩과 비교해 지반 시스템 견고함 월등
▲ 제2롯데월드의 기초 지반 설계를 맡은 에이럽 사의 제임스 시즈 홍콩지사 부사장이 세계적으로 유명한 초고층 건물들과 비교해 제2롯데월드 타워의 지반 시스템은 안전하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사진 / 홍금표 기자

제2롯데월드의 기초 지반 설계를 맡은 에이럽 사의 제임스 시즈 홍콩지사 부사장이 “제2롯데월드타워의 지반은 두바이의 부르즈 할리파나 중국 톈진의 골딘 파이낸스 117보다 더 안전하다”고 언급해 이목을 끌었다.

12일 제임스 부사장은 제2롯데월드 안전관리 위원회가 ‘제2롯데월드 건물과 지반 구조 안전성’이라는 주제로 개최한 시공기술 발표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제2롯데월드타워가 지반 안전도 부분에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초고층 건물인 부르즈 할리파나 차이나 117 타워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는 취지의 발언이다.

제임스 부사장은 “초고층 건물은 무거운 하중으로 침하되기 마련”이라며 “롯데월드 타워의 지반은 부르즈 할리파의 예상 침하량 절반 정도 수준으로 견고한 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지반 침하량을 조사한 결과, 롯데월드 타워는 (당초)예측 값 39mm의 절반도 안 되는 9mm 정도의 침하량을 보이고 있어 예상보다 더 튼튼한 지반으로 평가된다”고 더붙였다.

최대 지반 침하 추정치는 부르즈 할리파의 경우 80㎜, 차이나 117 타워의 경우 150㎜이다. 이와 비교해 제2롯데월드타워는 39㎜정도다. 또한 지반 시스템의 견고함도 부르즈 할리파(61MN/㎜), 차이나 117 타워(59MN/㎜)보다 제2 롯데월드타워(179MN/㎜)가 더 높은 성능으로 설계됐다고 제임스 부사장은 설명했다.

제임스 부사장은 “아직 완공되지는 않았지만 현재까지의 실측 결과는 9㎜ 정도 지반 침하가 발생했다”며 “이 추세대로라면 제2 롯데월드타워가 완공돼도 13∼14㎜ 정도만 침하가 일어나고 이 경우 제2 롯데월드타워에서 100m가량 떨어진 지하철에서는 측정할 수 없는 수준의 지반 침하가 발생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날 발표회에 참석한 홍성걸 대한건축학회 서울대 교수는 “롯데월드몰의 지반과 지하층 및 지상층을 구간별로 중력하중 등의 외력에 대해 계측값을 검토한 결과, 구조설계기준에 만족한다”며 “롯데월드몰은 구조적으로 안전성이 확보된다”고 말했다.

박홍근 한국콘크리트학회 부회장 서울대 교수는 “제2 롯데월드타워 건물 곳곳에 671개의 계측기가 설치돼 있어 실시간으로 위험성을 파악할 수 있다”면서 “사람으로 치면 상시로 건강검진을 하고 있는 셈”이라고 말했다.

제2롯데월드 안전관리 위원회 관계자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시공기술발표회를 통해 국민들과 소통할 것”이라면서 “철저한 안전시공을 기본으로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제2롯데월드가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