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이랜드FC의 수문장은 누가 될까?
서울 이랜드FC는 13일 경남 남해군 서면 남해스포츠크파크에서 전지훈련을 통해 시즌을 차분히 준비하고 있다.
추운 날씨지만 프로축구 K리그 챌린지(2부 리그)에 합류를 앞두면서 K리그 클래식 승격을 내다보며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경쟁에서 치열하지 않은 포지션은 없겠지만, 이랜드FC의 GK 자리는 김영광(32), 이범수(25), 김현성(22)으로 더욱 심하다.
김영광은 과거나 현재나 축구스타지만, 지난 2013년 명문 울산현대에서 뛰던 시절 종아리 부상으로 후배 김승규(25, 울산)에 주전 자리를 내주고 말았다. 이후 경남FC 임대 이적해 활약했지만 팀의 강등은 막지 못했다.
김영광은 “청소년부터 성인대표팀까지 차례로 거쳤다. 경력으로는 엘리트 코스를 밟았다고 할 수 있다”며 “그러나 부상으로 대표팀과 소속팀 주전 경쟁에서 모두 멀어졌고 차츰 그런 상황들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게 됐다. 처음에는 힘도 들었지만 낮은 곳부터 다시 시작하라는 뜻으로 여기고 기존에 내가 갖고 있던 것들을 다 내려놓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범수는 이범영(26, 부산)의 동생으로 190cm의 키에 84kg의 신체조건을 바탕으로 15~17세 이하 청소년 대표를 거쳤고, 2010년 경희대를 졸업한 뒤 신인 드래프트 1순위로 전북현대 유니폼을 입고 데뷔했다. 하지만 최은성(44, 은퇴), 권순태(31) 등 선밷들과 경쟁에서 밀리면서 5시즌 동안 정규리그 단 4경기 출전(챔피언스리그 포함)에 그쳤다.
이범수는 “전북에 있던 5년 동안 4경기에 출전해 12실점했다. 경기당 실점이 무려 3점이었다”며 “출전 기회가 거의 없다보니 경기력과 자신감이 모두 떨어졌다. 수비진을 진두지휘해야 할 골키퍼가 흔들리니 실수도 더 많아졌다”고 아픈 과거를 회상했다.
김현성도 사실 과거가 만만치 않다. 6학년 때 키가 168cm로 골키퍼를 시작했고, 광명고 졸업 후 미국프로축구(MLS) 진출 유혹에 대학 진혹까지 포기했지만, 현지에서 모텔에만 머물며 훈련도 제대로 받지 못했다.
이에 김현성은 “약 5개월간 미국에 있었는데 아무 것도 못했다. 축구와 관련된 일이라면 무엇을 해도 좋았는데 빈손으로 한국에 돌아오니 상실감이 컸다”면서 “한동안 휴식을 취하며 축구를 그만둘까 고민을 했다. 하지만 한 번 더 도전해보자는 아버지의 설득에 인천유나이티드에서 운동을 시작했고 당시 인천 골키퍼 코치였던 김현태 팀장님으로부터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는 조언을 들었다. 그 한 마디를 계기로 다시 운동을 시작했다”고 말했다.
한편 각각 아픈 과거를 가지고 있는 김영광, 이범수, 김현성 가운데 누가 이랜드의 수문장이 될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