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단념자 급증, 사상최대 50만명 육박
구직단념자 급증, 사상최대 50만명 육박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집계방식 달라진 이유 때문인가, 청년층 취업난 가중 때문인가

통계청이 ‘체감 실업률’로 불리는 고용보조지표를 산출하기 시작하면서 ‘구직단념자’ 수가 급증하고 있다.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바에 따르면, 취업을 포기한 ‘구직단념자’ 수는 지난해 같은 달 대비 무려 25만5천명 늘어난 49만2천명으로 나타났다. 50만 명에 육박한 사상 최대 기록이다.

구직단념자는 지난 2010년 2월 처음으로 20만 명대를 기록했고, 30만 명대를 넘어선 것은 지난해 3월부터였다. 그러다 같은 해 5월 40만 명대로 급증해 9개월 연속 40만 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곧 50만 명대로 올라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통계청 관계자는 “고용보조지표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국제노동기구와 협의 하에 지난해 3월부터 구직단념자 집계 방식이 다소 달라졌다”고 설명했다. 과거 구직단념자는 자격증 등 일정 요건을 갖추고 취업을 희망하는데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는 경우로 한정했었다. 하지만, 지난해 3월부터는 이 같은 요건을 제외시켰다. 이에 따라 구직단념자 수가 급증했다는 설명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단순히 구직단념자 집계 방식의 문제가 아니라는 지적도 내놓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청년층의 취업난으로 구직단념자가 증가하는 추세”라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