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정화조 냄새물질 제거 '공기공급장치' 설치 확대
서울시, 정화조 냄새물질 제거 '공기공급장치' 설치 확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환경부와 하수악취개선 시범사업에 대한 업무 협약 체결 예정
▲ 사진 / 조성윤 기자

 

 서울시가 정화조 냄새물질 제거장치인 ‘공기공급장치’ 설치를 확대한다고 밝혔다.

하수악취 민원은 ‘14년 말 현재 총 3,547건으로 ‘10년 1,753건 대비 200% 증가 추세다.

하수악취 주범은 정화조 펌핑시 확산되는 황화수소(H2S)인데,「하수악취 저감장치 효과 실증연구」에 따르면 황화수소는 공기와 반응할 시 거의 소멸된다고 밝혀진 바 있다.

이에 시는 ‘10년부터 200인조 이상의 대형 정화조에 공기공급장치가 설치될 수 있도록
건물주들을 설득해왔으며, ‘14년 말 현재 1,826개소에 설치되어있다.

그러나 아직 서울시내 펌핑식 정화조가 총 8,451개소로 아직도 6,625개소가 남아 있는 상태다.

시는 정화조 소유주에게 공기공급장치 설치를 지속적으로 권고하고, 올 한해 300개소 이상 설치될 수 있도록 도모할 계호기이다.

이와 함께 시는 올 한해 3억원을 투입하여 악취 집중 발생지역인 영등포구 문래동 지역 등에 공기공급장치 설치비를 지원해 150개소가 설치될 예정이다.

또한, 시는 현재 1000인조 이상의 공기공급장치 설치 규정을 200인조 이상으로 확대하는 하수도법 개정안을 중앙정부에 건의했다. 이는 올해 중에 시행될 전망이다.

아울러 서울시와 환경부는 올해 3월 중 하수악취개선 시범사업에 대한 업무 협약을 체결하여 악취 현황조사, 악취지도 작성, 공기공급장치 설치 등 하수 악취저감 사업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시사포커스 / 부은주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