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최저임금 인상 문제와 관련해 여‧야‧정이 함께 논의할 필요성이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문재인 대표는 10일 오전 당 싱크탱크인 민주정책연구원 주최로 열린 ‘경제정책심화과정’에 참석해 “최근에 최경환 부총리도 ‘임금이 올라야 내수가 산다. 최저임금을 빠른 속도로 올려야 한다’고 말했다. 저와 우리 당이 주장해온 소득주도 성장, 최저임금 인상이 옳다는 것을 인정한 것”이라며 “그러나 말로써만 끝날 것이 아니라 실천이 필요하다. 이제 여야와 정부가 머리를 맞대고 최저임금을 어떤 속도로 높여 나갈 것인지 서로 협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문 대표는 그러면서 “우리 당은 이미 오래 전에 최저임금의 하한선을 전체 노동자 평균임금 절반 수준 이상으로 법제화하는 최저임금 법 개정 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며 “다음 국회에 그 법안이 통과될 수 있도록 여야가 함께 협의하고 노력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여 밝혔다.
문재인 대표는 또, 같은 날 오전 경기도청 언제나 민원실에서 열린 ‘경제정당의 길-생활임금 간담회’ 자리에서도 “최저임금이라 하면 그야말로 적어도 최저수준의 생활은 보장해 줄 수 있는 임금이란 뜻”이라며 “지금 시간당 5580원 한달 약 110만원인데, 이 임금으로는 3~4인 가족이 도저히 생활할 수 없다. 최저생활조차 보장해주고 있지 못하니까 최저임금의 인상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문 대표는 이어, 생활임금과 관련해 “최저임금보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적어도 노동자들이 가족들을 부양하면서 인간답게 살 수 있는 정도 수준의 임금을 말한다”면서 “우리당 소속의 서울 성북구, 노원구, 경기 부천시, 광주 광산구 이런 쪽에서 먼저 실시했고, 광역자치단체로는 금년에 서울시가 시작했다. 그리고 새누리당 소속 단체장이 하고 있는 지자체로는 경기도가 처음으로 하게 되는 것”이라고 환영의 뜻을 밝혔다.
문 대표는 “앞으로 생활임금이 다른 모든 지자체로 확산되길 바라고, 나아가 중앙정부까지 실시해 생활임금이 공공부문 전체로 확산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여 강조했다.
경기도청 도지사실에서 열린 간담회에서도 문 대표는 “이제 최저임금 인상이나 생활임금 도입은 여야, 진보 보수를 떠나서 우리 경제를 살리는 문제”라며 거듭 “경기도가 생활임금을 결단한 것처럼 여와 야가 머리를 맞대 최저임금 하한선을 법제화하고 현실화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문재인 대표는 이날 간담회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천정배 전 장관 탈당 문제와 관련해 “당을 혁신해서 다시 일으켜 세우는 일을 함께 할 수 있으리라 기대했는데, 선거 때문에 탈당해 아주 안타깝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천정배 전 장관은 새정치민주연합에 희망이 없고 야권의 새판짜기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히며 탈당했지만, 문재인 대표는 천 전 장관이 4.29재보궐선거 출마를 위해 탈당했다는 인식을 드러낸 것이다.
문 대표는 그러면서 “지금도 천 전 장관과 함께하지 못할 관계라고 생각하고 있지 않다”는 입장을 덧붙여 밝히기도 했다.
문 대표는 또, 전략공천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과 관련해 “지금은 전략공천을 말할 때가 아니다”며 “특정인을 위해 전략공천을 하는 것은 우리 당이 갈 길이 아니라고 본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