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마포을 당협위원장 선정 놓고 지역정가 ‘시끌’
새누리당 마포을 당협위원장 선정 놓고 지역정가 ‘시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새누리당 서울 마포을구 당협위원장 선출 문제를 놓고 지역 정가가 시끌시끌하다. 지난 1월 마포을 지역 당원들은 새누리당 중앙당사 앞에서 김성동 전 당협위원장을 규탄하는 기자회견까지 열었던 바 있다. 사진 / 홍금표 기자
새누리당이 각종 공천 및 당협위원장 선정 과정에서 상향식 공정한 룰을 적용하겠다고 대외적으로 선포했지만, 내부적으로는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는 모습이다.

당은 최근 부실 당협위원회 8곳을 선정하면서 당협위원장 교체 논란으로 계파 갈등이 첨예하게 일고 있다. 그런가 하면, 서울 강동을 지역에서는 시당이 현 당협위원장을 밀어주기 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인천 남동갑 지역 또한 인천과 상관없는 인물을 낙하산으로 내려 보내려 한다는 우려의 목소리들이 나오면서 지역 정가가 시끌시끌한 상황이다.

◆마포을, 특정 후보 밀어주기 논란
그런 가운데, 서울 마포을 지역의 경우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진행 중인 당협위원장 선출 문제를 두고 지역 정가에서 갖가지 뒷말들이 나오고 있다. 비례대표 국회의원과 이지역에서 당협위원장을 지냈던 인사가 자신의 대리인격으로 ‘관리형 당협위원장’을 심어 놓으려 하고 있다는 논란이다.

보이지 않는 손으로 지목되고 있는 인사는 김성동 전 국회의원이다. 김성동 전 의원은 현재 국회의장 비서실장을 지내고 있어, 당협위원장을 맡지 못한다. 따라서 의장 비서실장을 수행하고 있는 동안 자신의 대리인을 당협위원장에 앉혀뒀다가, 이후 비서실장에서 내려왔을 때 다시 당협위원장을 맡으려 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당협위원장 공모와 후보자 압축 과정 또한 석연치 않은 부분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최초 당협위원장 공모에는 5명의 후보자가 신청했었다. 이 중 시의원 공천에서도 탈락했었던 A씨는 김성동 전 의원의 측근으로 지역 정가에 파다하게 소문이 나 있었다.

그런데 조강특위에서는 이 지역을 추가공모지역으로 분류했다. 이군현 사무총장은 “해당지역 유능한 인재 분들이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달라”고 말했을 뿐, 왜 추가공모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설명이 없었다. A씨를 포함한 공모 신청자 5명 중에서는 적임자가 없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밖에 없는 결정이었다.

그렇게 추가공모가 실시되고, 3명의 인사가 추가로 공모에 신청했다. 여기서 또 김성동 전 의원의 얘기가 나온다. 앞서 A씨를 대리로 내세웠지만, 조강특위에서 추가공모를 할 만큼 A씨가 약체로 판단됨에 따라 또 다른 B씨를 대리인을 내세웠다는 논란이었다. 이 때문에 지난 1월 마포을 당원들은 여의도 새누리당 당사 앞에서 김성동 전 의원을 규탄하는 시위와 기자회견을 갖기도 했었다.

이 같은 지역 당원들의 반발이 반영된 탓이었는지, 최종 여론조사에는 B씨가 제외됐다. 결국 새누리당 조강특위는 최초 공모에 신청했던 A씨와 추가공모로 참여한 2명 등 모두 3명으로 최종 여론조사 경선을 한다고 발표하였다. 그러나 최초 공모에 참여한 여성후보 J씨가 중앙당에 강력하게 항의하자 조강특위는 또 다시 J씨를 포함하여 총 4인이 여론조사 경선을 한다고 수정 발표하였다.

추가로 후보자 공모를 해놓고, 1차 공모자였던 A씨를 최종 여론조사 경선에 끼워 넣은 황당한 상황이 돼버린 것이다. 이 때문에 김성동 전 의원이 다시 A씨를 밀어주기 하고 있다는 논란이 격화되고 있다.

◆A씨에서 B씨로, 다시 또 A씨로…
이와 관련, 최종 여론조사 경선에 포함된 한 후보는 12일 <시사포커스>와 통화에서 “김성동 전 의원이 A씨를 심었다는 것은 다 아는 이야기다. 지역에서 다들 그렇게 알고 있다”며 “A씨가 너무 약할 것 같아서 새로 내세운 게 B씨였는데, B씨가 더 시끄럽게 될 것 같으니 안 되겠다 해서 다시 A씨를 밀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하지만 당협위원장 선출 방식은 여론조사 60%, 면접 40%가 반영된다. 여론조사 반영 비율이 높은 만큼 김성동 전 의원이 아무리 측근을 대리인으로 내세웠다 하더라도 여론조사 결과에까지 영향을 미치기는 어려울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도 반론이 나온다. 이 후보자는 “A씨가 김성동 전 의원의 복심이라는 인식이 퍼져 있다”며 “이런 인식은 여론조사에서도 충분히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최종 당협위원장 선출 결과가 중요하지만, 이미 공모와 경선 과정에서는 결코 투명하지 못한 특정 인사 밀어주기가 진행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편, 이 같은 의혹과 논란에 대해 김성동 전 의원 측 관계자는 이날 <시사포커스>와 통화에서 “그런 소문들을 들은 적은 있지만, 실체가 없는 얘기”라고 일축했다. 이 관계자는 “김성동 전 의원으로서는 당협위원장이 중요한 게 아니라 차기 총선에 출마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겠냐”며 당협위원장 자리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지 않다는 뜻을 덧붙였다.

아울러, 김 전 의원을 둘러싼 논란에 대한 입장과 관련해서는 “지금 현재 국회의장 비서실장 신분이니 일절 어떤 의견을 내는데 자제하고 있다. 의견을 내는 자체가 새로운 해석을 낳게 될 수 있다”며 “주위에서 이말 저말 주장하는 것들이 사실 확인도 안 된 것들이 많기 때문에 일일이 해명하고 그럴 일은 아니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여러 후보들 중에 가까운 분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은 당연하고, 당협위원장 출마하면서 의논하고 그런 일들은 있었다”며 “의논하고 격려하는 정도였는데, 그런 것들이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 같다. B씨의 경우도 김성동 전 의원이 밀었다면 압축 배수에서 떨어지고 그럴 일은 없었지 않았겠냐”고 거듭 해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2015-03-12 21:40:34
참 한심스러운 일입니다. 마포에 그렇게도 인물이 없나요? 김성동의원 내년에 출마하려면 국회의장 비서실장을 내놓고 당협위원장에 도전하면 될텐데 마포사람들과 중앙당을 넘 무시하는것 같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