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우조선해양이 사장 공백 사태를 막기 위한 ‘마지노선’인 16일에도 차기 사장 인선 안건을 이사회에 상정하지 않게 돼 당장 다음 달부터 수장 없이 대행체제로 운영된다.
16일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시사포커스>와의 통화에서 “오늘 이사회에 차기 사장 인선 안건은 상정되지 않는다”며 “추후 일정도 정해진 것이 없다”고 답했다. 이에 따라 오는 29일 고재호 현 사장의 임기가 만료되면 대우조선해양은 고재호 사장이 대표이사 대행 체제로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상법상 규정에 따라 대우조선해양은 이달 내로 주주총회에서 안건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이사회에서 2주 전까지 안건을 확정해야 한다. 이에 따라 늦어도 지난 주말 내지는 오늘 오전까지 사장추천위원회를 구성하고 이날 급박하게나마 이사회에 사장 인선 안건을 상정할 가능성이 남아있었으나 대우조선해양 측의 공식 확인에 따라 모두 무산됐다.
지난해 수주 목표를 초과달성하고 영업이익이 조선3사 중 유일하게 증가하는 등 좋은 분위기를 타고 있던 대우조선해양은 난데없이 경영 공백 사태를 맞게 됐다.
프로젝트당 수천억원 이상이 들어가는 조선업 특성상 CEO의 신뢰는 수주로 직결되는 만큼 고재호 현 사장이 대표이사 직무 대행 체제를 수행할 경우 해외 수주 실적에 타격이 예상된다. 러시아 국영 선박회사 소브콤플로트의 세르게이 프랭크 회장 등 주요 고객사인 해외 선주들도 최근 사태에 우려를 표하며, 프로젝트 생산 차질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고재호 현 사장의 연임 또는 낙하산 사장 인선 반대를 요구하고 있는 대우조선해양 노조는 이날 서울 대우조선해양 본사 앞에서 후임 사장 선임을 촉구하는 1인 시위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노조 측은 오는 17일부터는 산업은행 앞에서 1인 시위를 이어갈 방침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