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단횡단으로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막기 위해 서울시가 대책을 마련했다.

서울시는 16일 차량 속도와 유동인구 등 1400억 개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아동과 노인 등 교통약자별 교통사고 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소에서 무단횡단으로 인한 교통사고 발생을 줄이고자 연내 전체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소 335곳에 무단횡단 금지시설을 설치하고, 정류소 양끝에 방호 울타리를 보강할 예정이다.
또한 서울시는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의 58%가 초등학교 반경 300m 이내에서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고 교통사고가 잦은 50개 초등학교 부근에 과속방지턱 등 교통안전시설을 설치한다.
노인 교통사고 방지를 위해서는 노인들이 자주 찾는 전통시장과 공원 등에 무단횡단 금지설을 마련할 예정이며 센서 감지로 무단횡단 시에 경고음이 나오는 보행신호 음성안내 보조장치를 3~4곳에 시범적으로 설치할 예정이다.
강진동 서울시 교통운영과장은 “교통사고와 관련된 각종 빅데이터를 시·공간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과학적인 대책을 수립했다”며 “앞으로 시설 개선과 더불어 교육, 홍보를 통해 교통사고를 줄여나가겠다”고 전했다. [시사포커스 / 최민아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