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업계 '규제 완화' 요구에, 미래부 '적극 지원'
바이오 업계 '규제 완화' 요구에, 미래부 '적극 지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업 위해 각종 규제 완화하고, R&D 성과의 사업화에도 힘써야 한다" 주장
▲ ⓒ미래창조과학부

 

17일 미래창조과학부 주관 간담회에서 파미셀, 씨젠, 제넥신 등 바이오 업체들이 산업의 각종 규제를 완화해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간담회에는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도 참석해, 바이오 업계의 목소리를 들었다.

바이오 업계 측은, 줄기세포 치료제 등 바이오헬스 분야 육성을 위해 각종 규제를 완화하고, R&D(연구개발)성과의 사업화에도 힘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씨젠 측은 “업계 화두인 조기진단이 확산되려면 검사가 대중화 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광고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검사를 많이 한다고 해서 인체에 해를 미치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파미셀 측은, “임상시험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원활한 자금 확보가 필요하므로 식양청의 허가서류가 있으면 금융권에서 자금을 유치할 수 있도록 지원해달라.”고 주장했다.

바이로매드 측은 “우리나라는 암, 에이즈 등 유전 질환에 대해서만 유전자치료를 허용하고 있고 다른 질환의 경우 보건부 장관의 허가가 필요한데, 파킨슨, 치매 등은 유전자치료가 허용되지 않아 안타깝다.”고 전했다.

제넥신 측은 “면역치료제와 자궁경부전암을 치료하는 백신을 개발하려면 유전자치료 기술이 들어가야 하는데, 외국에서는 질환에 관계없이 이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반면에 국내에서는 특정 질환에만 허가가 한정되어있다.”고 말했다.

서정선 바이오협회 회장은 “R&D에서부터 정부 인허가, 사업화, 글로벌 진출까지 이어져야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데, 정부는 R&D만 추구하고 시장성을 확보하는 데에는 인색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김현수 대표이사는 “신약개발에 15년가량 걸리고 임상단계까지 거쳐도 마케팅에 실패하는 경우가 있다.”며 “신약을 연구개발해 상용화하는 과정 자체를 하나의 산업으로 보고 기초연구부터 최종 상용화까지 지원이 이어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같은 의견들에 대해 최 장관은 “바이오산업에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입장을 표했다. [시사포커스 / 부은주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