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의 자원외교 국정조사특위의 청문회 증인 채택 문제로 여야의 공방이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정부 및 공공기관 등의 해외자원개발사업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자원외교 국조특위)는 증인채택 문제로 인해 행보가 꼬이고 있다. 당초, 24일까지 증인을 확정하고 오는 31일 청문회를 시작하려고 했으나 여야가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새누리당은 참여정부 당시 비서실장을 맡았던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를 비롯해 참여정부 산업부 장관이었던 정세균 의원, 임채정 상임고문, 이광재 전 강원도지사,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 등을 증인으로 요구하고 있다.
반면, 새정치연합은 이명박 전 대통령, 이 전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 전 의원, 당시 자원외교 주무부처인 지식경제부 장관이었던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왕(王)차관이라고 불린 박영준 지식경제부 2차관,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이 출석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런 가운데 문 대표의 증인 채택 문제로 여야의 공방이 이뤄지고 있다. 이는 새정치연합 측에서 문 대표의 증인 채택을 물타기로 규정하면서도 문 대표의 채택을 결단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비치자 새누리당에선 문 대표의 증언이 필요해 증인으로 채택하는 것이라고 맞서고 있다.
새정치연합 강기정 정책위의장은 25일 MBC 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문재인 대표가 출석 의사를 밝힌 것에 대해 “결단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강 의장은 새누리당의 요구에 대해 “문재인 대표를 비롯 정세균 의원, 임채정 전 의장 등을 출석하라고 새누리당이 물타기를 하고 있는 것”이라면서도 “물타기 공세라는 것을 앎에도 불구하고 정말 자원국조를 할 의지가 있다면 우리는 새누리당이 요구하고 있는 문재인 대표를 비롯해 이런 분들도 결단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즉, 새누리당이 요구하고 있는 문 대표의 증인 채택을 수용할면 자신들이 요구하는 증인채택 역시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새누리당은 “문 대표의 증언을 들어볼 필요가 있다”며 새정치연합의 ‘물타기’ 지적을 반박했다. 자원외교 국조특위 새누리당 간사인 권성동 의원은 25일 브리핑에서 “새정치연합이 마치 새누리당에서 국조 내내 한번도 거론되지 않았던 문재인 의원과 정세균 전 장관을 증인으로 신청했다고 주장하고 있다”며 “새정치연합은 속기록부터 확인하기 바란다”고 지적했다.
권 의원은 이어 “문 대표는 노무현 정부에서 해외자원개발사업에 관여할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으로서 NSC에 참여한 바 있다. 문 대표는 오늘 대변인 논평을 통해 자신은 NSC에 관여한 바 없다고 하는데, 이는 법령에 따라 자신에게 부여된 소임을 방임했다는 자기 고백”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런 내용에 대해 당시 비서실장인 문 의원의 증언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증인으로 신청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권 의원은 또 “러시아 서캄차카, 나이지리아, 우즈베키스탄 아랄해 가스전 등 사업은 투자비 대부분을 회수하지 못한 노무현 정부의 대표적 실패 사업”이라며 “이에 대해 문 의원의 증언을 들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권 의원의 이 같은 브리핑에 새정치연합 김성수 대변인은 반박 브리핑에서 “수십조의 손실을 낸 이명박 정부의 해외자원 비리를 밝히기 위한 국조에 참여정부도 같이 올려놓자는 새누리당의 주장은 이해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대변인은 “문 대표가 비서실장으로 재직할 당시는 자원외교에 관여할 위치도 아니고 관여한 적도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김 대변인은 이어 “NSC는 비서실과 별개 조직으로 문 대표는 관할할 위치에 있지도 않았고 관여한 바도 없다”며 “새누리당의 주장은 서울에서 벌어진 일을 부산 사람에게 따져 묻자는 것과 하등 다를 바 없다”고 꼬집었다.
아울러 “새누리당이 문 대표를 증인으로 채택하자는 것은 이명박 정부의 치부를 감추기 위한 물타기가 확실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