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공직자 66%, ‘부동산’ 효과로 재산 증가
고위공직자 66%, ‘부동산’ 효과로 재산 증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근혜 대통령, 자서전 등 재산 31억6천950만원 신고
▲ 우리나라 공직자 66%인 1212명은 전년도에 비해 평균 재산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 홍금표 기자

계속된 경기 불황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고위공직자 10명 가운데 7명은 재산을 불린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국회·대법원·헌법재판소·정부·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1825명의 고위공직자 정기재산변동 신고 내역에 따르면 고위법관 평균 재산이 19억7천만원, 정부고위직 12억9천만원으로 10명 중 7명의 재산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토지와 아파트 등 부동산 가격 상승이 공직자 재산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됐다. 또 가계비용 지출로 인한 채무증가는 재산의 주요 감소요인으로 나타났다.

재산신고 금액별로는 ▲50억원 이상 52명(2.8%) ▲20억∼50억원 269명(14.7%) ▲10억∼20억원 398명(21.8%) ▲5억∼10억원 497명(27.2%) ▲1억∼5억원 489명(26.8%) ▲1억원 미만 120명(6.6%)이었다.

박근혜 대통령은 자서전 등 인세수입 증가와 급여 저축 등으로 3억3천592만원 증가한 31억6천950만원을 신고했다. 이완구 국무총리의 재산신고액은 전년보다 7천393만원 감소한 11억3천67만원이었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 박근혜 정부 국무위원의 평균 재산은 18억5천만원이었고, 장관급 인사 27명의 평균 재산은 18억1천만원으로 1년 전에 비해 2억2천만원 가량 증가했다.

또한 고등법원 부장판사급 이상 고위 법관과 헌법재판관 등 사법부 고위 인사 167명 중 119명(71.3%)도 재산이 증가했으며 1억 원 이상 불린 사람은 40명이다.

고위 법관 재산공개 대상자인 154명의 평균 재산은 19억7천502만원이었다. 이 중 101명(65.6%)이 10억원 이상의 재산을 신고했다. 헌법재판관 9명의 평균 재산은 17억3천181만원으로 집계됐다.

양승태 대법원장과 박한철 헌법재판소장의 평균 재산은 각각 39억2천750만원과 14억740만원으로 나타났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재산공개 대상자 18명의 평균 재산은 6억 원이었고, 13명의 재산이 전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밖에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난해보다 재산이 107만원 증가했으나 여전히 빚이 재산보다 6억8천만원 많았고,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의 재산은 지난해보다 1억3천만원 증가한 6억3천만원으로 확인됐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