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밤 상관 없이 한반도 상황 실시간 관측 가능, 적외선센서 탑재

다목적 위성 아리랑 3A호가 발사에 성공했다.
아리랑3A호 발사에 성공하면서 한국은 낮과 밤에 상관없이 한반도 상황을 실시간으로 관측할 수 있게 됐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아리랑 3A호는 26일 오전 3시 08분쯤(한국시간 26일 오전 7시 08분)에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에서 쏘아올려졌다.
발사시점으로부터 약 15분 뒤 발사체와 최종 분리된 아리랑 3A호는 32분 뒤 남극의 트롤(Troll) 지상국과 첫 교신에 성공하고, 이후 노르웨이 스발바르 지상국과도 교신했다.
이어 발사 5시간 57분(한국시간 26일 오후 1시 05분) 후에는 대전 항우연의 위성관제센터와의 교신에도 성공해 최종적으로 발사에 성공했다.
아리랑 3A호는 국내위성으로는 최초로 5.5m 해상도의 고성능 적외선센서를 탑재했다. 따라서 한국은 세계적으로 적외선센서를 탑재한 4번째 인공위성 보유국이다.
국내 최초로 파장이 3.3~5.2㎛에 해당하는 중적외선 감지 센서가 장착된 아리랑 3A호는 깜깜한 밤에도 지표면의 물체를 촬영할 수 있고, 산불이나 화산 활동, 핵시설과 같은 공장 가동 여부, 도심 열섬 현상 포착에도 용이하다.
아리랑 3A호는 3∼6개월간 본체운영 및 시험과정 등을 거쳐 본격적으로 개시된다.
차후 아리랑3A호는 발사 후 4년간 528km 상공에서 오후 12시부터 2시 사이 한 차례, 새벽 0시부터 2시까지 적외선 영상을 한 차례 찍을 계획이다. 이에 따라 한반도 관측 주기는 5.5회로 늘어난다. [시사포커스 / 부은주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