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한국의 경험과 지식을 중남미와 나누고 공동 번영을 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미주개발은행(IDB) 연차총회 마지막 날인 29일 부산 벡스코에서 루이스 알베르토 모레노 IDB 총재와 함께 브리핑을 갖고 이같이 밝히면서 “앞으로 한국의 IT와 제조업 역량을 중남미의 풍부한 에너지 및 광물자원 등과 연계해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 부총리는 “한국과 중남미에서 400여개 이상의 기업이 참여한 1:1 비즈니스 상담회에서는 1100여개의 실질적인 상담이 이뤄졌다”며 “앞으로 많은 투자협력 사례가 발굴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또 그는 “11억달러 규모의 ‘한·중남미 개발협력 플랜’과 볼리비아, 니카라과 등으로의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지원 등을 언급하며 두 지역이 상생 발전하는 중요한 수단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런 지원이 한국의 재정 부담으로 이어지지 않느냐는 지적에 대해 “정부는 공적개발원조(ODA) 비중을 굉장히 빠른 속도로 늘려갈 방침”이라면서 “IDB와 관련해서는 ODA로 진행되기 때문에 추가적인 재정 부담을 초래하지는 않는다”고 답변했다.
최 부총리는 연차총회의 중요한 의제 중 하나인 IDB 민간부문 지원조직 개편에 대해서는 회원국 간 협상이 지금도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한정된 재원으로 민간부문의 협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인데, 구체적인 출자 규모와 지분 구조에 대해서는 회원국 간 의견 차이가 있다”면서 “오늘 밤 폐막식 전에 결론이 났으면 좋겠다는 희망이 있지만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모레노 총재는 “한국이 최선을 다해 행사를 준비해준 덕분에 IDB 56년 역사상 가장 생산적인 총회를 가질 수 있었다”면서 “오늘날과 같은 정보화·글로벌화 시대에서 한국으로부터 많은 영감을 얻어 간다”고 말했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