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제조업 종사자들의 체감경기 수준을 나타내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가 2개월 연속으로 회복됐다. 그러나 기준선인 100을 크게 밑돌아 완연한 회복세를 나타내기엔 미약한 모습이었다.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2015년 3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에 따르면 제조업의 3월 업황BSI는 77로 전월 대비 3포인트 상승했다. 제조업 업황BSI는 2월(74) 1포인트 상승한 데 이어 2개월째 개선됐다.
기업경기실사지수는 기준치 100을 넘으면 경기를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많음을, 100을 밑돌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제조업의 경영애로사항으로는 내수부진, 불확실한 경제상황 등이 꼽혔다. 세부적으로는 내수부진(26.1%), 수출부진(10.8%), 경쟁심화(11.9%)를 선택한 기업의 비중은 전월보다 각각 2.1%포인트, 1.7%포인트, 0.4%포인트 증가한 반면, 불확실한 경제상황(18.0%), 환율(7.2%)을 선택한 기업의 비중은 2.9%포인트, 0.2%포인트 각각 줄었다.
비제조업의 3월 업황BSI는 70으로 전달보다 2포인트 상승해 한 달 만에 반등했다. 4월 업황 전망BSI(74)는 전월과 같은 수준을 기록했다. 기업과 소비자 모두를 포함한 민간의 체감경기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3월 경제심리지수(ESI)는 전월보다 2포인트 하락한 98을 기록했지만, 경제심리의 순환적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ESI 원계열에서 계절 및 불규칙 변동을 제거한 순환변동치는 96으로 전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시사포커스 / 박호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