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정치민주연합은 이른바 ‘친박 게이트’로 명명한 故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 사태와 관련해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나설 것을 촉구했다. 또, 메모에 적힌 당사자들의 해명과 관련해서도 오히려 의문을 갖게 한다며 의혹을 이어갔다.
새정치민주연합 김성수 대변인은 이와 관련한 브리핑에서 “2012년 대선자금과 2007년 한나라당 대선 후보 경선 자금이 친박 권력형 비리게이트 즉 친박 게이트의 핵심 사안으로 떠오르고 있다”며 “이른바 성완종 리스트에 이름이 오른 8명 가운데 이완구 총리, 홍준표 경남도지사 두 사람을 제외한 6명이 박근혜 대통령의 선거 핵심 참모였다는 점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김 대변인은 그러면서 “2억 원을 줬다는 홍문종 의원, 3억 원이 적힌 유정복 인천시장, 2억 원의 당사자로 보이는 서병수 부산시장은 모두 2012년 박근혜 후보 캠프의 핵심 인물들이었다”며 “전 현직 청와대 비서실장인 김기춘, 허태열, 이병기 이들 세 사람은 모두 2007년 한나라당 대선 후보 경선 당시 역시 박근혜캠프의 핵심 인물들이었다”고 밝혔다.
이어, “예상대로 거명된 인사들은 하나같이 돈을 받은 사실이 없다고 딱 잡아떼고 있고 친분 관계도 애써 부인하고 있다”며 “하지만 이들의 해명에는 곳곳에 허점이 드러나고 있고 도리어 의혹을 짙게 하는 대목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특히, “9월 26일 날짜를 둘러싼 김기춘 전 비서실장의 알리바이 주장은 엉뚱한 해명으로 들통 나 오히려 폭로의 치밀함만 뒷받침하고 있다”며 “최근 두어 차례 구명을 호소하는 전화를 받았다는 이병기 비서실장의 해명, 성완종 전회장이 숨지기 전날 이완구 총리의 이름을 여러 차례 부르며 억울함을 호소했다는 언론 보도 역시 평소 어떤 사이였길래 하는 의문을 갖게 한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이런 모든 의문들에 대해 검찰은 즉각 수사에 착수해 철저하게 진상을 밝혀야한다”면서 “아울러 박근혜 대통령은 현 정권 최대의 정치 스캔들인 이번 사건에 대해 성역 없는 수사를 지시해 국민적인 의혹을 해소할 것을 거듭 촉구한다”고 덧붙여 밝혔다.